[블록미디어 이정화] 미국 경제학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시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경제학자들이 트럼프의 △관세 인상 △세금 감면 △이민 제한 정책 등을 분석한 결과, 향후 2년간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이 선거 전 예상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고 19일 보도했다.
조사는 1월10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됐다. WSJ의 분기별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 73명의 평균 예측치는 올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2.7%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0월 예상치 2.3%보다 0.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일반 가구의 연간 생활비는 약 600달러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 경제가 다른 선진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업률은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17일 발표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급등하는 물가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이 트럼프의 재집권을 이끈 요인 중 하나라고 WSJ은 전했다.
트럼프는 대선 기간 동안 석유 생산 확대 등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내년도 CPI 상승률을 2.6%로 전망하며, 이는 지난해 10월 예측치 2.3%보다 상향 조정된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CPI 상승률은 2.9%를 기록했다.
트럼프의 경제 공약 이행 여부와 실질적인 영향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그는 중국에 60% 이상의 관세를, 다른 국가에는 10~2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대통령 취임 첫날에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즉시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경제학자들은 중국에 대한 평균 관세 인상을 23%포인트, 다른 국가에는 6%포인트로 예상하며, 전체적으로 약 10%포인트의 관세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올해 4분기 CPI 상승률은 추가로 0.5%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조 브루수엘라스 RSM US 수석 경제학자는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관세 인상은 적절한 조치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물가 상승세가 가팔라짐에 따라 2027년까지 금리를 기존 예상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제학자들은 내다봤다. 올해 말 기준금리는 기존 3.3%에서 3.89%로 상향 조정됐으며, 현재 4.37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도 2025년 말 4.4%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해 10월 예측치 3.7%보다 높아졌다.
경제 성장률도 소폭 상향 조정됐다. 올해 GDP 성장률은 지난해 10월 예상치 1.9%보다 높은 2%로 전망됐다. 다만,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2025년 GDP 성장률이 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트럼프의 세금 감면 정책은 향후 10년 동안 연방 재정적자를 4조 달러 늘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조치가 규제 완화와 함께 노동 및 투자 인센티브를 확대해 전반적인 수요를 촉진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