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가 변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양적 완화를 언급하면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라프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비트코인(BTC) 가격은 10만 달러(약 1억 4,375만원)에서 11만 달러(약 1억 5,812만원)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1월 21일 3.78% 상승했으나, 이후 24시간 동안 가격 변동이 주춤했다. 한 분석가는 비트코인이 명확한 방향성을 보여주지 않고 있어 이 상태가 이달 말까지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업 암호화폐 트레이더 크릴린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1월 28~29일 회의 전까지 비트코인이 10만 달러에서 11만 달러 사이를 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1월 말 FOMC 전까지 10만 달러와 11만 달러 사이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CME FedWatch에 따르면 금리가 4.25%에서 4.5% 사이로 동결될 가능성은 99.5%에 달한다.
그러나 연준의 비둘기파적 기자 회견이나 양적 완화(QE) 언급이 나온다면, 위험 자산의 추가 상승을 촉발할 수 있다. 미국 국채는 36조 2,100억 달러로 이미 책정된 한도를 초과했다. 부채 한도 상향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는 연준의 대규모 자산 매입을 통한 양적 완화 가능성을 높인다. 연준이 자산 규모를 증가시키면 시장에 유동성을 주입해 위험 자산 가격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예측은 여전히 시장의 추측에 의존하고 있어 1월 28~29일 회의 이후 더 명확한 방향이 확인될 것이다.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를 돌파한 이후 강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했으나, Glassnode 데이터에 따르면 자본 유입이 줄어들었다. 2024년 11월 이후 BTC 실질 시가총액 순위 변동이 12.5%에서 5% 이하로 떨어졌다. 또한 순실현 이익이 45억 달러에서 3억 1,670만 달러로 감소해 매도 압박이 줄어든 것을 시사했다.
현재 비트코인 시장의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분석가 비트코인Data21은 전체 암호화폐 시장 총액이 6~8주 안에 두 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간 기술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 15만 달러도 가능하며, 강세장은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3일, 05:24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