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오픈AI의 o1과 견줄만한 추론 모델 R1을 공개하며 주목받고 있다. 딥시크는 미국 기업들이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것과 달리 600만 달러(약 86억 원) 미만의 비용으로 경쟁력 있는 AI 모델을 개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량원펑은 1985년 중국 광둥성 잔장에서 태어나 저장대에서 정보전자공학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대학 시절부터 AI와 금융을 접목하는 시도를 했으며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머신러닝을 통한 퀀트 트레이딩을 연구했다. 2015년에는 대학 친구 2명과 함께 하이-플라이어(High-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해 큰 성공을 거뒀다.
하이-플라이어는 2019년부터 엔비디아의 GPU 1만 개를 확보하며 AI 칩 클러스터를 구축했다. 이 인프라 구축에는 약 1억 달러(약 1440억 원)가 투입됐다. 2023년 5월 하이플라이어의 AI 연구소를 독립시켜 딥시크를 설립한 량원펑은 새로운 AI 모델을 계속해서 개발해왔다. 딥시크는 R1 모델뿐만 아니라 ‘딥시크 코더’와 ‘딥시크-V2’를 공개해 강력한 성능과 저렴한 비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브스는 딥시크가 기술적 능력을 우선으로 채용해 “AI 개발에 대한 신선한 시각을 가진 고도로 숙련된 팀을 구성했다”고 평가했다. CNN은 그를 ‘중국의 샘 올트먼’으로 표현하며 AI 기술 전도사로 주목했다. 하지만 R1은 중국 관련 특정 주제에서 한계를 보이며, 일부 문제 해결 능력에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8일, 16:45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