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살바도르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이 국제통화기금(IMF)과 협약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엘살바도르는 2021년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해 금융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IMF와 협약을 체결하면서 비트코인 강제 사용 정책 폐지, 기업의 비트코인 필수 수락 의무 철폐, 비트코인을 통한 세금 징수 금지 등의 조치를 취해야 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부켈레 대통령은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리는 등 정책을 계속 추진 중이다.
비트코인 가격 상승은 부켈레 대통령의 확신을 더욱 강하게 하고 있다. 그는 미국 대선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 활성화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부켈레 대통령의 비트코인 전략은 엘살바도르를 세계 여섯 번째로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국가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이 국가 경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엘살바도르는 암호화폐 허브로 자리 잡기 위해 법률 개정을 통해 암호화폐 기업 유치를 적극 추진 중이다. 최근 테더(Tether)가 엘살바도르에 본사를 이전하며 그 전략을 강화했다. 그러나 국내에서 비트코인 사용률은 낮고, 일부 시민들은 비트코인 투자보다 복지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정책은 국제 금융 시장에서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 상승과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확대가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지만, 국내 경제에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는지는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1일, 15:0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