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권성근 기자] =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2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 교역국이자 동맹국인 캐나다, 멕시코 등에 보편 관세 부과를 결정하며 자국 중심의 관세 정책을 펼치는 데 대해 미국 경제에 ‘자해 행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했다.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 중인 서머스 전 장관은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향후 9개월간 인플레이션이 1%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운동장이나 국제 관계에서 약자를 괴롭히는 것은 승리하는 전략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머스 전 장관은 “우리는 가까운 동맹국들을 중국의 지도자 시진핑 (국가주석) 품으로 밀어내고 있다”며 “우리가 설정한 모든 국제 규범을 위반하면 그의 행위가 정당화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시 주석이 승자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서머스 전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오늘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취한 조치는 납득하기 어렵고 위험하다”며 “이는 자동차, 휘발유 및 미국인들이 구매하는 모든 종류의 상품 가격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서머스 전 장관은 “관세 부과에 우리 동맹국들도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그들은 우리의 경제적 고통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서머스 전 장관은 “멕시코 경제가 불안정해지면서 이주민들이 남부 국경으로 몰릴 수도 있다”고 했다.
그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재무장관을 지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산 모든 수입품에 각각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관세는 오는 4일 오전 0시1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다만 캐나다산 에너지 자원에 대해선 25%가 아니라 10%의 추가 관세만 적용한다고 명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들 국가를 상대로 보편 관세 부과 절차에 들어가자, 상대국들도 보복을 선언했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1일 밤 긴급 기자회견에서 캐나다가 1550억 달러(226조365억원) 상당의 미국 상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맞불을 놓았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이날 엑스에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처를 포함, 플랜B를 이행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미국, 캐나다,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 체결국으로 지금까지 3국 간 무역에 관한 관세는 거의 없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일방적인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했다”며 WTO에 제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