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AM 매니지먼트] 비트코인은 지난주(1월 넷째주) 최대 3.74% 상승했다가 주간 기준 4.79% 하락하며 9만7700달러에 마감했습니다. 미국 나스닥 선물 시장도 하락했는데요. 위험자산 가격 하락은 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의 부상과 맞물려 있습니다.
#딥시크와 美 관세 부과, 위험자산에 충격
딥시크는 오픈소스를 활용해 AI 챗봇을 개발했지만, 오픈AI(OpenAI)는 기술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있어 경쟁력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딥시크의 AI 모델은 상대적으로 적은 그래픽 카드 자원을 사용해, 미국 AI 기업들이 대량으로 구매한 엔비디아(Nvidia) 그래픽 카드의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영향으로 엔비디아 주가가 급락하면서 시장 전반에 하락 압력이 가해졌습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는 금리 동결이 결정됐으며, 성명서에서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인 2%를 향해 진전했다”는 표현이 “인플레이션이 다소 높게 머물러 있다”로 바뀌면서 시장이 일시적으로 흔들렸습니다. 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은행의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투자 심리는 다소 회복됐습니다.
#주요 변수, 美 관세 부과와 고용보고서
이번 주는 미국 제조업 상황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와 고용 보고서가 연이어 발표될 예정입니다. 또한, 지난주에 이어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도 예정되어 있으며, 특히 알파벳의 실적 발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주 후반에는 미국의 1월 고용 보고서가 발표되며, 최근 연준의 매파적 분위기 속에서 고용 보고서의 결과가시장에 미칠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테더 도미넌스 상승…비트코인 추가 하락 가능성?
테더(USDT) 도미넌스는 4.52%로 마감하며 전주 대비 11.88% 상승했습니다. 강한 반등이 나오면서 4.5%를 돌파했는데, 이는 비트코인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비트코인은 하락 채널을 돌파한 뒤 상승세를 보였지만, 미국의 관세 이슈로 다시 하락하며 기존 하락 채널로 되돌아갔습니다. 현재 가장 가까운 지지선은 일 봉 90일선이며, 이 지점에서 반등하지 못하면 8만9000달러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송승재 AM 매니지먼트 애널리스트는 “만약 8만9000달러 아래로 떨어진다면 단기 반등 후 다시 하락하는 ‘데드캣 바운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주 중 비트코인의 저점이 어디에서 형성될지 지켜봐야 합니다.
# 에이엠 매니지먼트(Am Management)
AM Management는 AI Quant System 개발자들과 디지털자산 전문 애널리스 트들이 제공하는 매니지먼트사다. AI Quant System을 통해 투자 성향에 맞춘 투자 전략 추천과 전문 애널리스트의 시황분석을 통해 변동성이 큰 시장 속에서 Risk 관리 및 투자 방향성 설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
[기술적 분석] 10만 아래 급락한 비트코인(BTC), “9만 달러 깨지면 하락 추세, 상승 전환은 95K 주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