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가 아시아 시장 개장과 함께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5% 관세 부과를 선언하면서 무역 전쟁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멕시코·캐나다·중국에 대해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급격히 흔들리고 있다. 특히 멕시코와 캐나다가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무역 갈등이 심화, 금융시장의 긴장감이 고조됐다.
3일 오전 11시 30분 기준, BTC 가격은 전일 대비 6.2% 하락한 9만 4000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이더리움(ETH)은 약 20% 급락해 2500달러를 기록했고, 솔라나(SOL)는 13% 하락해 188달러, 리플(XRP)은 27% 급락해 2.1달러에 거래됐다.
코인글래스(CoinGlass)는 최근 12시간 동안 약 13억 달러 규모의 롱 포지션이 청산됐다고 밝혔다. 이 중 ETH 롱 포지션이 4억 달러, BTC 롱 포지션이 3억 달러에 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사설위원회는 이를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증권업계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한국·유럽·일본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국내 증시 역시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며, 단기적으로는 조선·기계 등 경기 민감주와 에너지·디스플레이 업종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율과 금리 변화에 따라 바이오·소비재·보험 업종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3일 오전 11시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65.28포인트(2.59%) 하락한 2452.09를 기록 중이다. 같은 시각 △대만 가권지수 -3.52% △일본 니케이225 -1.94% △홍콩 항셍지수 -0.87% 등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미국 주요 선물지수인 △다우존스30 -1.15% △S&P500 -1.65% △나스닥100 -2.24% 역시 급락세다.
이번 하락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 갈등을 촉발한 데 따른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주말 동안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통해 관세 비판론자들을 겨냥하며 “이들은 중국의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관련 밈코인 ‘TRUMP’ 토큰도 12% 하락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3일, 12:0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