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은 이제 일상에서 빠질 수 없는 기술로 자리 잡았다. 2023년 11월 OpenAI가 ChatGPT-3.5를 출시한 이후 AI 시장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2024년 미국은 5천억 달러 규모의 ‘스타게이트(Stargate)’ AI 인프라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AI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러나 중국도 AI 기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고 있다.
중국 항저우 출신 엔지니어 량원펑(Liang Wenfeng)이 개발한 AI 모델 딥시크 R1이 스타게이트 발표 며칠 후 출시됐다. 딥시크 R1은 첫날부터 앱스토어 1위를 기록했으며, 기존 AI 모델과 비슷한 성능을 95% 낮은 비용으로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이 소식에 미국 AI 하드웨어 제조사 엔비디아(NVIDIA)의 주가는 20% 하락했다. OpenAI는 반박했지만, 딥시크의 접근 방식은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이미 2017년 ‘차세대 AI 개발 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AI 선도국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4년에는 ‘AI 역량 강화 행동 계획’을 발표해 글로벌 AI 격차를 줄이고 AI 기술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을 내놓았다. 중국 정부는 민간 기업과 협력해 알리바바, 바이두, 텐센트, 화웨이 등 15개 대형 AI 기업을 지원해왔다.
한편, 미국은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시장을 통합한 AI 혁신 전략을 추진 중이다. ‘암호화폐 차르(Crypto Czar)’ 데이비드 색스(David Sacks)가 임명되며 AI와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AI 인프라를 선점하려는 움직임도 강화되고 있다. 이제 AI 패권 경쟁은 단순한 기업 간 경쟁을 넘어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패권을 건 ‘AI 레이스’로 확산되고 있다.
딥시크 R1은 반복 학습과 전문가 조합 모델 아키텍처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딥시크 R1이 기존 AI 모델 대비 95% 낮은 비용으로 개발됐다는 주장은 논란이 되고 있다. OpenAI는 딥시크가 ChatGPT의 학습 데이터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반박하고 있다. 글로벌 AI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실제 훈련 비용이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AI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탈중앙화된 컴퓨팅 네트워크가 주목받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아이오넷(io.net)과 같은 프로젝트는 AI 개발자들에게 빠르고 저렴한 연산 자원을 공급하고 있다. 효율적인 연산 자원 확보와 AI 모델의 성능 최적화가 AI 기술 경쟁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딥시크 R1의 등장은 AI 패권 경쟁이 국가 간 전략적 경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AI 기술이 인류 사회를 변화시킬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자리 잡으면서, AI 패권을 차지하는 국가와 기업이 미래 산업의 지형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AI가 인간의 삶에 미칠 영향은 지금부터의 선택에 달려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3일, 12:32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