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에서 데이터는 새로운 금으로 불린다. 2024년 현재, 전 세계 평균 스크린 타임은 하루 6시간 40분이며, 미국에서는 7시간 3분에 달한다. 이처럼 스크린 타임이 증가하면서 매일 약 0.4 제타바이트(ZB)의 데이터가 생성되지만, 사용자가 소유하는 경우는 드물다.
현재 데이터는 주로 플랫폼 기업이나 서비스 제공업체가 관리한다.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의 게시물, 스마트 기기의 데이터, 헬스케어 앱의 의료 데이터 등 모두 기업의 소유다. 사용자가 이를 자유롭게 활용하거나 수익화하기는 어렵다.
AI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데이터 소유권을 갖지 못하는 구조는 여전히 변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웹3 기반 데이터 레이어가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소유권을 돌려주고, 이를 직접 활용하거나 수익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표적인 예로 바나, 오션프로토콜, 마사, 오픈렛져가 있다. 바나는 AI 모델 훈련 데이터에서 개인이 데이터 소유권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오션프로토콜은 데이터 제공자가 데이터를 공유, 판매, 라이선스할 수 있는 탈중앙화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한다. 마사는 AI 모델 훈련을 위한 실시간 고품질 데이터를 공급하며, 오픈렛져는 데이터 검증 및 AI 훈련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이처럼 웹3 데이터 레이어 프로젝트들은 데이터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돌려주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웹3 데이터 레이어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으면, 사용자는 자신이 생산하는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통제하고 수익화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데이터는 더 이상 플랫폼 기업의 자산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디지털 경제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3일, 13:12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