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암호화폐 시장이 급격히 하락하며 24시간 동안 22억1000만 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관련 발언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코인글래스의 청산 맵에 따르면 이더리움(ETH)과 비트코인(BTC)의 청산 규모가 각각 6억77만 달러, 4억677만 달러로 가장 컸다. 리플(XRP)과 솔라나(SOL)도 각각 1억1529만 달러, 8499만 달러의 청산이 발생했다. 기타 암호화폐에서도 4억3538만 달러 상당의 청산이 일어나며 시장 전반의 급락세를 반영했다.
특히 롱 포지션 투자자들이 큰 타격을 입었다. 24시간 동안 롱 포지션 청산 규모는 18억7000만 달러에 달했다. 숏 포지션 청산 규모는 3억4195만 달러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시장 상승을 예상한 상황에서 갑작스러운 하락이 발생했음을 보여준다.
최대 단일 청산 거래는 바이낸스(Binance)에서 ETH/BTC 페어로 2564만 달러 규모의 청산이 기록되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언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위험 자산 전반의 하락을 유발했다고 분석했다. 암호화폐는 높은 변동성 탓에 다른 자산보다 더 큰 하락세를 보였다. 투자자들에게는 단기적 시장 변동성 증가와 포지션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이다.
코인글래스의 비트코인 청산 히트맵에 따르면 9만2000달러 이하 구간에서 롱 포지션이 집중 청산됐다. 비트코인 가격이 9만2000달러 지지선에서 실패하며 연쇄 청산으로 이어졌다. 현재 비트코인 유동성 분포는 95000달러에서 강한 저항선이 형성돼 있어 추가 상승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92000달러를 하회할 경우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반면 95000달러 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숏 포지션 청산이 급증해 상승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향후 주요 변수는 외부 요인과 거래소 내 대규모 유동성 공급 여건이 될 전망이다. 투자자들은 지지선과 저항선 구간에서의 유동성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 포지션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3일, 16:3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