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 결과 이달내 금융위 송부할수도”
“주요 지주·은행 임직원들, 은행 자원을 사익 위한 도구로 삼아 부당대출”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대규모 부당대출 사건이 발생한 우리금융 등에 관해 “부실한 내부통제나 불건전한 조직 문화에 대해 상을 줄 생각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4일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2024년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결과 브리핑’에서 “금융당국이 금융사와의 관계를 건강한 긴장 관계가 아닌 온정주의적 관계로 취급하는 것처럼 비쳐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금감원은 이날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총 730억원을 포함해 우리·KB국민·농협은행에서 고위 임직원들의 3천145억원 규모 부당대출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중 우리금융에서는 부당대출 규모가 2천334억원에 달했다.
우리금융지주[316140]는 현재 동양·ABL생명 인수·합병(M&A)을 추진하는 만큼, 금감원의 검사 결과 우리금융지주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이 현재 2등급에서 3등급 이하로 하향 조정되면 보험사 인수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의 보험사 인수 심사에 필요한 경영실태평가 등급 산정을 최소 수개월이 걸리는 제재 절차와 ‘투트랙’으로 분리해 신속하게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지주가 1월 15일 보험사 M&A 승인 심사 신청을 했고, 심사 기한은 2개월”이라며 “기한을 늘릴 수는 있지만 민감도가 있는 사건인 만큼 가급적으로 원칙적으로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2월 중에라도 금융위원회에 저희 의견을 통보할 수 있어야 금융위에서 3월 중에 판단할 수 있게 된다”며 “제재 절차와는 별도로 분리해 경영실태평가 결과를 도출하려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우리금융지주의 보험사 M&A 심사를 담당하는 금감원 은행감독국은 지난달 검사국에 경영실태평가 자료 송부를 요청한 상태다.
이 원장은 부당대출 등이 임종룡 현 회장의 재임 시기에도 이어졌다는 부분을 보도자료에 명시한 이유에 대해서는 “현직 CEO 재임 시기 위법이 반복된 것 아니냐는 질문을 많이 받아왔기 때문에 포함한 것”이라며 “재발 방지 노력을 위한 의지가 있다고 믿고 싶지만 의지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지 냉정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검사 결과와 관련해서는 “주요 지주·은행의 임직원들이 은행 자원을 본인 등 특정 집단의 사익을 위한 도구로 삼아 부당대출 등 위법행위 및 편법영업을 서슴지 않았다”며 “은행권의 낙후된 지배구조와 대규모 금융사고 등 심각한 내부통제 부실이 재차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검사 결과) 지주회장 중심의 의사결정 체계가 공고하고 상명하복의 조직문화가 만연해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어려웠다”며 “이사회는 인수·합병(M&A) 등 중요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는 등 경영진 견제·감시 기능이 제한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사는 금융사고를 축소하려 하거나 사고자를 온정주의적으로 조치함으로써 대규모 금융사고가 반복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고 비판했다.
이 원장은 이들 지주·은행 검사에서 공통적으로 건전성과 리스크 관리를 경시하는 조직문화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최근 기업은행에서도 복수의 직원이 연루된 대형 부당대출 금융사고가 발생하는 등 부실한 내부통제와 불건전한 조직문화는 특정 금융회사나 소수 임직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은행권, 금융권 전반의 고질적인 문제”라고 짚었다.
이 원장은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세부방안을 마련해 금융회사가 단기 성과주의를 지양하고, 지배구조 선진화, 건전성·리스크관리 중심 영업 및 엄정한 조직문화 확립 등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srchae@yna.co.kr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