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규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SWF) 설립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미국인들은 국부펀드의 운영 방식과 목적에 대한 불투명성, 국가 부채 부담 등을 이유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우리는 이 펀드를 통해 많은 부를 창출할 것이며, 이제 미국도 국부펀드를 가질 때가 됐다”고 발표했다.
국부펀드는 정치적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나 재무장관의 통제권을 벗어나 운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콧 베슨트 재무부 장관과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에게 해당 펀드를 설계하도록 지시했다.
베슨트 재무장관은 “1년 이내에 국부펀드를 가동할 계획”이라고 추가로 입장을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자산을 활용해 국부펀드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국가 경제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미국의 천연자원과 연금기금을 활용해 국부펀드를 운용하면 외국 자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업계에 미칠 영향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국부펀드가 디지털자산(가상자산)에 투자할 경우, 미국 정부가 디지털자산을 제도권 금융 시스템 내에서 본격적으로 수용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기관투자자들의 신뢰가 높아져 시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다른 국가들이 미국의 움직임을 참고해 디지털자산을 국가 자산으로 인정하는 흐름이 가속화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트럼프의 대선 공약 중 하나였던 ‘비트코인 전략 준비금’ 설립도 국부펀드를 통해 실현 가능할 것으로 기대감이 모인다.
반대로, 정부가 국부펀드를 통해 특정 디지털자산만 전략적으로 채택할 경우, 알트코인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엇갈릴 수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대형 자산에만 자금이 몰릴 경우, 소규모 프로젝트들은 규제 압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반대의 목소리를 강하게 내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국부펀드의 운영 방식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정부 관계자들은 국부펀드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용될지에 대한 세부 계획을 밝히지 않았다. 이에 대해 미셸 덴버와 데이브 샤퍼는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리빗에게 반박하며 “어떻게 운영될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민주당과의 협력 문제, 재원 조달, 운영 구조와 원칙 마련 등 국부펀드 실행을 위한 중요한 과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아 추후 이를 둘러싼 논의는 지속될 전망이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