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정윤재] 벤처캐피털 a16z(안드레센 호로위츠)의 마일스 젠닝스(Miles Jennings)는 탈중앙화가 단순한 기술적 개념을 넘어 사회·경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앙집권적 시스템이 효율성을 제공하지만, 독점적 구조로 인해 사용자와 창작자, 중소기업이 불리한 위치에 놓인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탈중앙화가 필요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법적 가이드라인과 인센티브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집권화의 문제와 탈중앙화의 가능성
a16z에 따르면, 현재 주요 기술 및 금융 플랫폼은 소수의 대기업이 통제하는 중앙집권적 구조를 갖고 있다.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지만, 플랫폼 운영에는 직접 개입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소셜미디어 △금융 시스템 △AI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중앙집권적 시스템은 단일 조직이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대기업의 일방적 결정이 사용자와 창작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수익 배분에서도 불공정한 결과를 초래한다고 젠닝스는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탈중앙화가 제시되지만, 기존에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실행이 어려웠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등장하면서 탈중앙화가 본격적으로 가능해졌다. a16z는 암호화폐 시장의 총 가치가 3조 달러를 돌파하고, 비트코인(BTC)·이더리움(ETH)·솔라나(SOL) 등 탈중앙화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서 탈중앙화가 현실적인 대안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탈중앙화를 위한 과제…명확한 규제와 인센티브 필요
젠닝스는 탈중앙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규제와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탈중앙화 프로젝트는 창업자와 개발자가 권한을 분산시키고, 합의 기반 의사결정을 도입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기존 중앙집권적 기업 운영 방식과 달라 창업자의 지분 희석, 영향력 감소 등의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일부 기업들은 탈중앙화를 표방하면서도 실제로는 중앙집권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진정한 탈중앙화 프로젝트들이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고, 사용자들에게도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a16z는 △탈중앙화 금융(DeFi)에 대한 차별화된 규제 적용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적절한 법적 정의와 완화된 공시 요건 △세금 및 컴플라이언스 규제의 명확화 등을 제안했다. 특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미 하원의 FIT21 법안 등은 탈중앙화 프로젝트가 중앙집권적 기업과 동일한 규제 기준을 적용받지 않도록 하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다만, 이러한 법안이 실질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여전히 검토가 필요하다.
“탈중앙화, 디지털 시대의 핵심 가치”
젠닝스는 탈중앙화가 단순한 기술적 개념이 아니라 자유와 공정성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미국 연방제(Federation) 역시 탈중앙화의 한 형태로, 각 주 정부가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a16z는 탈중앙화가 △경쟁 활성화 △창의성 증진 △자유 확대 △참여자 보상 강화 △가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탈중앙화를 통해 기존 중앙집권적 플랫폼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선택권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젠닝스는 “이제 우리는 탈중앙화를 대규모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문제는 이를 어떻게 장려하고 촉진할 것인가”라며 “규제가 탈중앙화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촉진할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16z는 탈중앙화를 시도하는 많은 개발자와 커뮤니티가 제도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혁신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제는 이들이 보다 명확한 규제 환경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젠닝스는 “탈중앙화는 더 많은 선택권과 기회를 제공하는 새로운 디지털 시대의 핵심 가치”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현실적인 인센티브와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