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무기한 선물시장에서 지난 24시간 동안 총 5억1877만 달러(약 7522억 원)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됐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은 롱 포지션 청산 비중이 컸으며, 리플(XRP), 솔라나(SOL), 에이다(ADA) 등 주요 알트코인은 숏 포지션 청산 비중이 높았다.
비트코인은 한때 9만1000달러까지 급락했다가 10만2000달러로 급반등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레버리지가 높은 투자자들의 포지션이 정리됐다. 코인글래스(Coinglass) 데이터에 따르면 매수 포지션 청산 규모는 2억5429만 달러(약 3687억 원), 매도 포지션 청산 규모는 2억6448만 달러(약 3835억 원)로 모두 집계됐다. 매도 포지션 청산 규모가 약간 더 많아 단기적인 매도 압력을 반영했다.
코인별 청산 규모는 비트코인 △1억5316만 달러(약 2221억 원), 이더리움 △1억2099만 달러(약 1753억 원)가 가장 컸다. 이어 리플 △3279만 달러(약 475억 원), 도지코인 △3080만 달러(약 447억 원), 솔라나 △2337만 달러(약 339억 원) 순이다. 단일 거래에서 가장 큰 청산은 HTX에서 발생했으며, BTC-USDT 거래로 3878만 달러(약 562억 원) 규모였다. 이는 대규모 레버리지 거래의 리스크를 보여준다.
거래소별로는 바이낸스(Binance)에서 가장 많은 1억7366만 달러(약 2518억 원)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다. 이어 OKX △1억2336만 달러(약 1789억 원), 바이비트(Bybit) △8783만 달러(약 1273억 원), HTX △6945만 달러(약 1007억 원) 순이다.
코인글래스가 제공한 펀딩비율 히트맵에 따르면, 최근 2주 동안 비트코인과 주요 알트코인의 펀딩비율에 뚜렷한 패턴이 관찰됐다. 펀딩비율은 양의 값이 롱 포지션 우세를, 음의 값은 숏 포지션 강세를 나타낸다. 지난 2주간 비트코인은 대체로 양의 값을 유지했으나, 일부 기간은 음의 값으로 전환되기도 했다.
알트코인에서는 △솔라나 △도지코인 △에이다 등의 펀딩비율 변동성이 컸다. 일부 자산은 지속적으로 음의 펀딩비율을 기록해 약세 심리가 뚜렷하게 반영됐다. 전문가들은 펀딩비율이 투자 심리와 가격 움직임을 파악하는 중요한 도구라며, 이를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14:15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