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정윤재] 리플 레저(XRPL)가 4일(현지시간) 약 한 시간 동안 블록 생성을 멈췄다가 정상 복구됐다. 원인은 조사 중이지만, 초기 분석에 따르면 합의 과정에서 검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리플(Ripple, $XRP) 레저는 블록 높이 93927173에서 네트워크 활동이 정지됐다. 이후 검증자들의 즉각적인 대응으로 조사가 시작됐으며, 현재는 정상 운영 중이다. 이번 중단으로 인해 자산 손실이나 거래 오류는 발생하지 않았다.
리플 레저 기반의 지갑 서비스 사만 월렛(Xaman Wallet)은 공식 X 계정을 통해 “리플 레저가 정상적으로 운영을 재개했으며, 모든 거래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추가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네트워크 ‘드리프트’ 가능성 제기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 리플 최고기술책임자(CTO)는 X를 통해 “합의 과정은 진행됐지만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네트워크가 분리(drift)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슈워츠는 특히 리플 레저의 핵심 합의 메커니즘인 ‘고유 노드 목록(UNL)’을 언급했다. UNL은 네트워크의 신뢰도를 유지하고 거래의 최종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리플 레저 재단은 2023년 1월 리플이 운영하던 검증자를 UNL에서 제외한 바 있다. ‘한 개 기관당 한 개 검증자’ 정책을 준수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에 따라 당시 리플의 영향력은 전체 34개 검증자 중 2개로 줄어들었다.
이어 같은 해 3월에는 커뮤니티 운영 노드를 추가하며 UNL을 36개 검증자로 확장했다. 합의에 필요한 신뢰 검증자 기준은 80%로 유지됐다. 당시 한국대학교의 검증자가 응답하지 않아 해당 노드는 삭제됐으며, 최종적으로 35개 검증자가 남았다.
이번 장애와 관련해 리플 레저 노드 운영사 에미넌스(Eminence)의 CTO 다니엘 켈러(Daniel Keller)는 “모든 35개 노드가 정상적으로 제안(proposing) 상태에 있다”고 밝혔다.
기술적 문제 이어지는 리플 레저
이번 사고로 거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지만, 슈워츠는 “약 한 시간 동안 검증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블록을 생성하지 못한 것뿐”이라며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을 서버들이 인식했고, 따라서 해당 시간 동안 신뢰할 수 있는 블록을 보고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최근 리플 레저는 기술적 문제에 여러 차례 직면했다. 2024년 9월에는 풀 히스토리 노드 장애가 발생해 긴급 패치가 필요했고, 같은 해 11월에는 노드 충돌 사고가 있었다.
이번 사고 이후 리플(XRP) 가격은 8.3% 하락한 2.52달러를 기록했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