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재정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 도입을 검토 중이며, 무브먼트랩스(Movement Labs)의 무브(Move) 기술이 채택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무브먼트랩스의 공동 창립자 겸 CEO 루시 만체(Rushi Manche)는 팟캐스트 언체인드(Unchained)에서 무브 언어의 우수성을 설명하며, 다른 블록체인보다 투명성과 보안성이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루시는 현재 블록체인 개발 환경에서 보안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언급했다.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기반 스마트 계약은 코드 오류로 인한 해킹 위험이 있지만, 무브 VM은 코드 검증을 실시간으로 수행해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무브 언어는 메타(구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를 위해 설계됐으나, 규제 문제로 무산된 후 앱토스(Aptos)와 수이(Sui) 등 새로운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활용되고 있다. 무브의 정형 검증 기능은 스마트 계약 실행 중에도 코드 안정성을 검증해 DAO 해킹과 같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무브먼트랩스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브 기반 레이어2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이더리움 개발자들이 더 안전하고 확장성 높은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돕는 목적이 있다. 올라프 칼슨 위(Olaf Carlson-Wee) 폴리체인 캐피탈(Polychain Capital) CEO는 무브가 금융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최적화된 언어로, 블록체인 기반 금융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무브먼트랩스는 향후 몇 개월 안에 무브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메인넷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개발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확장성 높은 스마트 계약 개발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I와 블록체인의 결합에 대한 전망도 논의됐다. AI 에이전트가 블록체인에서 독립적인 지갑을 가지고 작동하면서, 자동화된 금융 시스템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5일, 15:0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