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규리 기자]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두고 시장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정치적 무기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는 반면, 국가 재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국부펀드 설립을 발표한 동시에 비트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포함시킬 정부와 의회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향후 이러한 논쟁이 더욱 불붙을 것으로 보인다.
아서 헤이즈 마엘스트롬 펀드의 최고투자책임자(CIO)는 6일 “정부가 비트코인을 보유하면 단순한 금융 자산이 아니라 정치적 도구로 변질될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 정부가 보유한 100만 개 이상의 비트코인이 언제든지 정책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시장에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트코인 비축 전략은 초기에는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이후에는 매수·매도 결정이 경제적 이유가 아닌 정치적 이유로 이루어질 위험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특히 비트코인은 국가 차원의 ‘대형 시트코인(stockpile of shitcoins)’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시장을 조작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꼽았다.
오는 2028년 대선에서 정권 교체 이후의 최악의 상황도 예측했다.
헤이즈는 2028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미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을 매각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2026년까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 못하고 전쟁을 종식시키지 못하며, 식량 공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민주당이 정치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면서 “민주당이 2024년 대선에서 트럼프를 지지했던 디지털자산 투자자들을 ‘응징’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금융 자산으로 존재할 때 그 가치를 발휘한다”며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는 단순한 시장 상승 요인이 아니라, 정치적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비트코인 전략 비축안이 국가 부채 감소 등 금융 시장에서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는 의견도 나온다.
자산운용사 반에크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비트코인을 국가 비축 자산으로 채택하면 2049년까지 국가 부채를 35% 줄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 회장은 “비트코인 보유가 미국 달러를 강화하고, 21세기 디지털 경제에서 미국이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의회에서도 비축 전략안을 발의해 본격적인 법안을 추진 중에 있다.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은 관련 법안을 발의하며 “비트코인은 미국 경제의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국부펀드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디지털자산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시장에서는 국부펀드를 통한 비트코인 매입 가능성을 제기 중이다. 데이비드 삭스 트럼프 행정부의 인공지능(AI)·디지털자산 정책 총괄 책임자 또한 비트코인 비축은 우리가 가장 먼저 살펴볼 것 중 하나라고 언급해 비트코인이 국가 경제 전략의 일부로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