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오수환 기자]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지난해 비상계엄 당시 발생한 트래픽 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 용량을 2배 이상 확대하고 이용자 보상금으로 총 40억원을 보상금으로 내놨다.
금융감독원은 6일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CEO)와 디지털자산거래소협의체(DAXA) 등과 현안 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비상계엄 사태 당시 발생한 전산장애의 원인과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며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3일 발생한 비상계엄 당시, 주요 디지털자산 거래소에 접속자가 급격히 몰리면서 시스템 장애가 발생했다. 금융감독원의 현장점검 결과, 두나무는 평소 50만 명까지 동시 접속이 가능했으나, 계엄 당일 54만명이 몰렸고, 빗썸은 10만명 수용 가능 상태에서 23만6000명이 접속하며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현장점검 이후 이들 사업자에 보상 내규를 합리적으로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디지털자산 거래소들은 재발 방지를 위해 서버 증설을 완료했으며, 현재 두나무는 최대 90만명, 빗썸은 최대 36만명까지 동시 접속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했다.또한 전산장애로 인한 피해 보상 신청 건에 대해 업비트는 31억 6000만 원, 빗썸은 5억원을 보상하기로 결정했다.
간담회에 참여한 가상자산 사업자들은 “대규모 전산장애 이후 서버 확충과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는 등 재발 방지에 집중하고 있다”며 “시스템 안정성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또한 각 디지털자산 거래소에 합리적인 보상 내규 마련도 요청했다. 특히, 빗썸과 코인원에는 내규와 업무 매뉴얼을 보다 구체화할 것을 요구했으며, 업비트에 대해서는 보상 유형을 세분화해 지급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산정 방식의 일관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는 이종오 금감원 디지털·IT 부원장보 주재로 개최됐으며 두나무, 빗썸,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 등 5곳과 CEO, 최고기술자(CTO), 닥사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