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저비용 생성형 인공지능(AI)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와 관련해 미국에는 법으로 정부 내 사용을 금지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6일(현지 시간) CNN에 따르면 대린 라후드(공화·일리노이) 미 하원의원과 조시 고트하이머(민주·뉴저지) 하원의원은 국가 안보 우려를 이유로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스크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오는 7일 발의할 예정이다.
법안에는 정부기관이 딥시크와 모회사인 하이플라이어가 개발한 다른 앱들을 소유 기기에서 제거하도록 표준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보통신(IT) 기술에 대한 미 의회의 초당적 우려를 감안하면 실제 법률로 제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앞서 딥시크가 내놓은 생성형 AI는 저비용으로 개발됐음에도 오픈AI의 챗GPT에 필적하는 성능을 선보이며 전세계에 충격을 안겼다. 다만 곧이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불거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차단 움직임이 확산 중이다.
CNN에 따르면 호주와 이탈리아, 대만 등에서도 미 정치권과 비슷한 움직임이 진행 중이다.
한국은 법제화가 이뤄지진 않았으나 정부기관들이 자발적으로 업무용 기기 접속을 차단했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통일부,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부,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 내 차단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