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박현재] 탈중앙화 인프라 네트워크(DePIN) 시장에서 아카시 네트워크(Akash Network)가 가장 높은 온체인 수익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아카시는 최근 네트워크 총 지출이 200만 달러(약 28억 원)를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10월 30일 100만 달러를 넘은 지 불과 96일 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DePIN Ninja에 따르면, 아카시는 가장 높은 온체인 수익을 내는 DePIN 프로젝트로 자리 잡았다. 현재 아카시 네트워크는 총 1016개의 GPU가 온체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중 66% 이상이 고밀도 칩셋(H200, H100, A100)으로 구성돼 있다. 전체 GPU 가동률도 62%로, 공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아카시 네트워크의 급성장에는 $AKT 토큰의 강력한 유틸리티가 한몫하고 있다. 아카시는 탈중앙화 방식으로 GPU 및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무허가 컴퓨팅 플랫폼으로 중앙화된 클라우드 서비스와는 다른 경 제 모델을 지닌다. 사용자는 이메일, 이름, 신용카드 정보 없이 완전한 개인 정보 보호와 자산 관리 기능을 갖춘 탈중앙화 슈퍼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딥시크와 같은 저비용 LLM의 등장으로, 초고성능 GPU 없이도 AI 모델을 구축하는 사례가 처음으로 발생했다. 이에 따라 AI 스타트업과 기업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고성능 GPU를 활용할 수 있는 아카시와 같은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아카시에서는 딥시크 R1을 전용으로 배치(deploy)할 경우 월 1800달러 이하의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다.
# 탈중앙화 컴퓨팅의 미래, 아카시가 선도
아카시는 현재 OpenAI, Google Cloud 등 중앙화된 클라우드 서비스가 독점하던 AI 및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 탈중앙화 방식으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GPU 대여 가격도 경쟁력이 높아, H200 칩셋의 시간당 사용료는 1.97달러, H100은 1.15달러, A100은 0.74달러 수준이다.
아카시는 “네트워크 규모를 더욱 확대하고, AI 및 블록체인 산업에서 탈중앙화된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라며, “베이스드(Based) 방식의 컴퓨팅 파워 제공을 통해 AI 및 웹3 생태계에서 새로운 표준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 200만 달러 돌파는 아카시 네트워크가 본격적인 성장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AI 및 블록체인 기업들이 클라우드 자원의 중앙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카시 같은 탈중앙화 인프라를 점점 더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