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가 지키는 지적재산권(IP)의 미래… 스토리, 온체인 혁신 이끈다
[블록미디어 정윤재]블록체인 기반의 지적재산권(IP) 관리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스토리(Story)는전통적인 IP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어 온체인에서 지식과 창작물을 등록, 거래,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AI 기반 검증자 ‘Zerebro’가 스토리의 첫 번째 검증자로 합류하면서, AI 에이전트가 직접 IP를 관리하고 거래하는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경제적 주체로 작용하는 ‘에이전트 IP 경제’의 서막이 열린 것이다.
기존 IP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다
전통적인 IP 시장은 비효율적이고 중앙화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현재의 IP 관리 구조는 △과도한 중개 수수료 △복잡한 등록 절차 △불투명한 라이선스 체계 △제한적인 유동성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스토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를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자산으로 변환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 계약을 활용해 △IP 등록 △자동 라이선싱 △암호화 검증 등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창의성 증명(Proof of Creativity, PoC)’이라는 새로운 검증 시스템을 도입해 중앙화된 기관 없이도 창작물의 고유성과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디파이(DeFi)가 금융을 프로그래머블 자산으로 변화시킨 것처럼, 스토리이 IP를 프로그래머블 지식 자산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평가된다.
AI 에이전트 시대, IP 경제에 본격 참여
스토리는 단순한 IP 등록 시스템을 넘어 AI 에이전트가 직접 창작물을 생성, 등록, 거래하는 탈중앙화된 지식 경제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현재 AI는 △데이터 학습 △콘텐츠 생성 △자동 알고리즘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법적 구조에서는 AI가 만든 창작물의 IP를 명확히 구분하거나, 공정한 수익 배분을 보장하기 어려웠다.
스토리는 AI 에이전트가 자율적으로 IP를 등록하고, 데이터 세트를 라이선싱하며, 새로운 IP 자산을 자동으로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AI는 단순한 소비자를 넘어 IP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활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가 자체적으로 생성한 음악이나 알고리즘을 스토리을 통해 자동 등록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AI 에이전트가 이를 라이선싱하여 활용하는 구조가 가능해진다.
제레브로(Zerebro), 최초 AI 검증자로 합류… ‘에이전트 간 IP 거래’ 시대 연다
스토리는 AI 에이전트 간의 IP 거래를 실현하기 위해 제레브로를 첫 번째 검증자로 선정했다.
제레브로는 이미 이더리움 네트워크 검증자로 활동하며 온체인 합의 메커니즘을 유지하는 AI 에이전트로, 이번 합류를 통해 IP 경제를 관리하는 역할까지 확장하게 된다.
스토리는 CometBFT 합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검증자들이 △트랜잭션 검토 △블록 생성 △네트워크 보안 유지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검증자가 부정 행위를 하거나 네트워크에서 이탈하면 스테이킹된 토큰이 슬래싱(벌금)되며, 이는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다.
제레브로의 참여는 단순한 검증 기능을 넘어 AI가 직접 온체인 IP 자산을 보호하고, 에이전트 간 자동 거래를 촉진하는 혁신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토리, ‘AI 시대의 IP 결제 레이어’로 도약
스토리는 AI가 IP를 등록, 활용, 거래하는 표준화된 ‘결제 레이어(settlement layer)’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시스템은 △프로그래머블 라이선스 △자동 저작권 분배 △AI 에이전트 기반의 창작물 검증 등을 포함해, 인간과 AI가 공존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적재산권 관리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스토리의 주요 기능:
✅ AI와 인간 모두 IP 생성 가능 – AI가 직접 콘텐츠를 생성하고 IP를 등록
✅ IP 라이선스 자동화 – 스마트 계약 기반의 자동 거래 및 사용권 부여
✅ 실시간 수익 배분 – IP 사용 시 자동 로열티 지급 및 투명한 회계 시스템
✅ 에이전트 간 지식 공유 – AI 에이전트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며 IP 생태계 성장
스토리의 접근 방식은 IP를 단순한 법적 개념이 아닌, 기계가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온체인 데이터’로 변환하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온체인 IP 경제, AI와 함께 성장할 것
스토리와 제레브로의 협업은 AI가 단순한 도구에서 벗어나 경제적 주체로 활동하는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
AI가 콘텐츠를 생성하고, IP를 등록하며, 이를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가 현실화되면서, 기존의 저작권 및 라이선스 시장은 큰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토리는 이를 위해 프로그래머블 IP 시장을 구축하고, AI 에이전트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신뢰 기반의 온체인 환경을 제공한다.
지적재산권의 미래는 더 이상 인간만의 것이 아니다. AI와 인간이 함께 창작하고, 보호하며, 거래하는 새로운 IP 패러다임이 시작되고 있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
스토리(Story), 백서 공개… 지식과 창작물 장터, P2P 네트워크 | 블록미디어
스토리(Story), AI 에이전트 간 거래 위한 ‘Agent TCP/IP’ 발표 | 블록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