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정윤재] 텐서 프로토콜(Tensor Protocol, $TNSR)이 NFT 거래 중심에서 벡터펀(Vector.Fun)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블록웍스에 따르면 텐서 재단(Tensor Foundation)은 벡터펀의 순수익 50%를 텐서 프로토콜에 배분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기존의 NFT 거래소 수익 모델에서 벗어나 소셜 트레이딩이라는 성장 시장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NFT 시장에서 소셜 트레이딩으로 확장
기존 텐서 프로토콜의 주요 수익원은 텐서 NFT 마켓플레이스였다. 텐서는 솔라나 1위 NFT 마켓플레이스였으며, 거래량 기준 연간 250만 달러(약 36억, 30일 기준) 규모의 수익을 기록해왔다. 그러나 2024년 이후 NFT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텐서의 시장 점유율은 하락세를 보였다. 경쟁 플랫폼인 매직 에덴(Magic Eden)과 블러(Blur) 등과 비교했을 때 텐서의 수익 구조는 상대적으로 취약해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텐서 팀은 소셜 트레이딩 플랫폼인 벡터펀(Vector.Fun)으로의 확장을 발표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블록웍스는 이 같은 전략적 전환이 TNSR 토큰의 가치를 크게 재평가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텐서 프로토콜이 향후 큰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분석했다.
벡터펀의 빠른 성장과 잠재력, 밈코인 소셜 트레이딩으로 이용자 이끈다
벡터펀은 기존의 텔레그램 트레이딩 봇과 차별화된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데몬 모드(Demon Mode)’ △방송형 트레이딩 시스템 △트레이딩 리더보드 △유저 간 소셜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강화했다.
- 데몬 모드: 특정 밈코인 거래에 특화된 기능으로, 빠르게 변동하는 자산을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방송형 트레이딩 시스템: 사용자가 자신의 거래를 공유하고 팔로워로부터 수수료 일부를 배분받을 수 있는 구조로, 트레이딩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킨다.
- 트레이딩 리더보드: 실시간 수익률(PNL)과 거래량 순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으로, 사용자 간 경쟁을 유도하며 플랫폼 참여도를 높인다.
이러한 소셜 트레이딩 요소는 기존 텔레그램 트레이딩 봇 시장의 사용자들을 유입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블록웍스는 “벡터펀은 현재 초대제로 운영되지만, 일반 사용자들에게 공개될 경우 더 큰 성장 잠재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텐서 프로토콜과 벡터펀의 수익 모델, TNSR 미래 가능성 열까?
블록웍스에 따르면 벡터펀은 수익 배분 구조를 통해 사용자와 프로토콜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한다. 전체 수수료의 약 30%는 사용자들에게 리퍼럴 보상 및 방송 수수료 형태로 지급되며, 나머지 50%는 텐서 프로토콜에 배분된다. 결과적으로 벡터펀 수익의 약 35%가 TNSR 토큰 보유자에게 돌아가게 된다.
현재 NFT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연간 수익 250만 달러(약 36억2500만 원)와 비교할 때 벡터펀의 수익은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도 TNSR의 총 수익을 6배 이상 증가(약 1억5000만 달러, 2175억 원)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블록웍스는 전망했다. 블록웍스는 “NFT 시장 거래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던 텐서 프로토콜이 벡터펀의 수익 배분을 통해 재평가될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블록웍스는 TNSR 토큰이 직면한 공급 압박에 대한 우려도 함께 제기했다. 오는 2025년 3월 10일, 1억2000만 개의 TNSR 토큰이 락업 해제를 앞두고 있다. 이는 전체 유통량 대비 상당한 비율로, 시장에서 잠재적인 매도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더불어 벡터펀의 성공은 밈코인 트레이딩 환경에 강하게 의존하고 있어, 시장 상황이 위축될 경우 사용자 증가와 수익 성장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블록웍스는 텐서 프로토콜이 벡터펀과의 협력을 통해 기존 NFT 거래소 모델을 넘어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벡터펀의 소셜 트레이딩 요소와 사용자 중심 전략은 기존 시장의 틀을 깨고 새로운 사용자층을 유입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다만, 대규모 락업 해제와 같은 공급 압박 요인을 충분히 고려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벡터펀의 성공적인 확장 여부와 사용자 기반 확대가 TNSR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앞으로 텐서 프로토콜이 소셜 트레이딩의 성장 가능성을 얼마나 실현할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더욱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
텐서(Tensor)의 소셜 트레이딩 앱 ‘벡터(Vector)’, TNSR 토큰 채택…DAO 수익 10배 증가 | 블록미디어
텐서(Tensor), 소셜 트레이딩 앱 ‘벡터(Vector)’로 두달만에 매출 1300억 돌파 | 블록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