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프리카공화국(CAR)이 공식 밈코인을 출시했지만, 이에 대한 신뢰성 논란이 일고 있다. 파우스탱 아르샹주 투아데라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영상이 딥페이크 논란에 휩싸이면서 의문이 제기됐다.
투아데라 대통령은 9일 X(옛 트위터)를 통해 국가의 공식 밈코인 출시를 알렸다. 그는 이 밈코인이 국가 발전과 국제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실험’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밈코인은 솔라나 기반의 런치패드 펌프펀을 통해 출시됐으며, 짧은 시간 내에 시가총액 5억2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인공지능 딥페이크 탐지 도구가 해당 발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영상이 ‘의심스럽다’고 판정했다. 또 다른 모델은 82%의 확률로 딥페이크라고 평가했다. 반면, 아바타리파이와 딥웨어의 검사 도구는 딥페이크가 아닐 가능성을 제기해 결과가 엇갈렸다.
게다가 웹사이트 도메인이 발표 3일 전에 등록된 점 등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신뢰성마저 흔들리고 있다. 웹3 보안 전문가 요카이 류진은 “CAR 밈코인의 도메인 등록 과정이 정상적인 국가 기관의 절차와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현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정부는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0일, 12:58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