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 사용 비용이 매년 10배씩 감소해 상품 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한정 자원과 사치품의 가격은 오히려 급등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2월 9일 블로그를 통해 “AI 기술 사용 비용이 매년 약 10배씩 줄어들며, 이는 AI 사용을 더욱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023년 초 GPT-4 모델에서 2024년 중반 출시된 GPT-4o 모델까지 AI 사용 비용이 약 150배 감소한 사례를 언급했다. 이는 반도체 칩의 집적도와 성능 향상을 설명하는 무어의 법칙보다 훨씬 빠른 속도다.
올트먼은 AI 비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많은 제품의 가격이 급격히 낮아질 것이라 예상했다. 그는 “현재 지능과 에너지의 비용이 많은 것을 제한하고 있지만, 이러한 제약이 풀리면 제품 가격이 대폭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사치품 △토지와 같은 제한된 자원은 공급 한정으로 인해 가격이 더 크게 상승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올트먼은 AI 혜택을 전 세계 모든 이들에게 공평하게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충분한 AI 사용량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컴퓨팅 예산(compute budget)’을 제공하는 방법을 검토 중”이라며 “2035년까지 누구나 인공지능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미래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AI 기술 비용의 급락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지난 1월 중국 AI 개발사 딥시크(DeepSeek)가 최신 저비용 AI 모델을 선보이자, 엔비디아(Nvidia) 같은 고가 하드웨어 제조사의 주가가 큰 타격을 입었다. 중국 주요 기업들은 이미 딥시크의 AI 모델을 자사 제품과 서비스에 통합하고 있다.
샘 올트먼이 기획한 월드코인(WLD)은 디지털 신원 인증 및 암호화폐 프로젝트로, 한국 시간 2월 10일 오후 1시 30분 지난 일주일 대비 10.7% 오른 1797원에 거래됐다. 월드코인은 디지털 신원 증명을 기반으로 글로벌 기본 소득(UBI)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0일, 15:2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