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박재형 특파원] 일본이 암호화폐 규제를 강화하면서도 디지털 자산 채택을 촉진하기 위한 대규모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FSA)은 암호화폐를 주식 및 증권과 유사한 전통 금융상품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같은 변화가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암호화폐 거래 방식, 과세 체계, 기관 투자자의 시장 참여 방식까지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FSA는 현재 암호화폐 관련 전문가들과 비공개 회의를 열어 기존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목표는 2025년 6월까지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는 것이며, 법 개정은 2026년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
FSA는 이번 개혁을 통해 암호화폐 기업의 운영 기준을 명확히 하고, 사기 및 불법 행위를 방지해 투자자를 보호하는 안전한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이 이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를 승인한 가운데, 일본 역시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흐름과 맞물린 움직임이다.
일본 정부는 또한 현재 최대 55%에 달하는 암호화폐 과세율을 20%로 인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는 금융 투자 세율과 동일한 수준으로, 만약 세율이 조정되면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더욱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다.
이번 개혁이 이루어진다면, 일본 내 대형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특히, 일본 최대 투자 기업 중 하나인 소프트뱅크(SoftBank)가 암호화폐 분야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최근 비트코인 채굴 기업 사이퍼 마이닝(Cipher Mining)에 투자했으며, 미국 텍사스에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확보할 옵션을 체결했다. 이는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소프트뱅크의 적극적인 관심을 반영하는 움직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