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시장에서 24시간 동안 약 1820억 원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다. 시장의 단기 반등으로 인해 숏(매도) 포지션에서만 8700만 달러가 강제 청산되며 변동성이 확대됐다.
코인글래스의 청산 데이터에 따르면, 롱(매수) 포지션 청산은 4958만 달러, 숏 포지션 청산은 8738만 달러였다. 이는 주로 숏 포지션에서 청산이 발생하며, 시장의 단기 반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에도 불구하고 미 증시가 상승 마감하며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가장 큰 단일 청산은 바이낸스의 BTCUSDT 거래로, 25억 원 규모였다. BTC에서 2185만 달러, ETH에서는 2138만 달러가 청산되어 두 자산 모두 숏 포지션 중심으로 청산됐다.
코인글래스 펀딩비 히트맵에 따르면, 대형 디지털 자산들의 펀딩 비율은 대부분 중립을 유지했다. 이는 시장이 강한 롱 또는 숏 포지션 쏠림 없이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카르다노(ADA), 솔라나(SOL), 수이(SUI) 등의 펀딩 비율은 음수로 전환되어 약세 흐름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펀딩비가 급등하면 롱 포지션이 과도하게 쌓여 가격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반대로 펀딩비가 음수로 전환되면 숏 포지션이 과도하게 쌓여 반등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레버리지 포지션이 증가하며 단기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시장 흐름을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1일, 13:3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