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서 이달 들어서만 243억원어치…1년 전보다 3배 늘어
KB국민은행 등 판매 중단…다른 은행들도 수급 차질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기자 = 금값 상승에 시중은행 골드바 판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 실물을 찾는 고객 수요는 여전하지만, 골드바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일선 영업점에서는 품귀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골드바 판매액은 이달 들어 전날까지 총 242억7천1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월 1~11일)의 79억6천326만원보다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지난달 같은 기간(1~11일)의 124억2천380만원과 비교해도 2배 가까이 늘었다.
이달 초 하루 20억원가량이던 골드바 판매액은 5일 38억원으로 뛰었고, 7일에는 이례적으로 53억6천359만원에 달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영업점에서 실물 골드바뿐 아니라 골드뱅킹이나 골드 상장지수펀드(ETF) 등 대체 투자가 가능한 상품 문의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조폐공사가 전날 골드바 공급을 중단하기로 하면서 전례없이 품귀 현상이 벌어진 상황이다.
은행별 판매 현황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KB국민은행은 조폐공사와 금거래소 판매를 대행해왔는데, 조폐공사는 이날부터, 금거래소는 지난해 11월 4일부터 골드바 공급을 각각 중단한 상태다.
금거래소의 1kg 골드바는 공급받을 수 있지만, 수급이 불안정해 자체적으로 판매를 하지 않기로 했다는 게 국민은행 측 설명이다.
우리은행 역시 조폐공사와 금거래소에서 골드바 공급이 끊겼다. 우리은행은 금거래소의 1kg 골드바를 계속 판매하고 있지만, 개인 구매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하나은행은 조폐공사와 금거래소 골드바를 모두 판매 중이다.
다만, 조폐공사는 이달 17일부터 한시적으로 하나은행에 골드바 공급을 중단할 예정으로, 현재로선 다음 달 말부터 판매 재개가 가능할 것으로 은행 측은 예상한다.
금거래소는 지난해 11월 1일부터 다음 달 말까지 하나은행에 10g, 100g 등 2종의 골드바 공급을 중단했으며, 1kg과 12.5kg 골드바는 현재도 공급·판매되고 있다.
신한은행은 LS그룹 계열사인 LS MnM으로부터 10g, 100g, 1kg 골드바를 직접 공급받아 판매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한국금거래소(이하 금거래소)에서도 1g, 3.75g, 37.5g 골드바를 받아 판매 중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골드바 판매량이 다른 은행보다 월등히 많다 보니 품귀 전 주문한 물량을 순차 배송받는 상황”이라며 “당분간 수급이 전처럼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NH농협은행은 그간 조폐공사, 금거래소, 삼성금거래소 등에서 골드바를 공급받아왔으나, 전날부터 금거래소에서만 받기로 했다.
현재 금거래소의 3.75g, 10g, 100g, 1kg 골드바를 모두 판매 중으로, 물량 부족에 따라 배송이 1~2주가량 지연될 수 있다.
5대 은행 골드바 일별 판매액(단위:원)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자료 취합. |
|
날짜 | 판매액 |
2025년 2월 03일 | 2,053,297,420 |
4일 | 2,104,707,310 |
5일 | 3,808,730,848 |
6일 | 2,815,580,680 |
7일 | 5,363,585,339 |
10일 | 3,214,198,878 |
11일 | 4,980,065,084 |
합계 | 24,340,165,559 |
2024년 2월 1~11일 | 7,963,256,910 |
2025년 1월 1~11일 | 12,433,798,127 |
hanjh@yna.co.kr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