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마켓캡서 9.8만달러대까지 오르기도
빗썸·업비트에선 1.4억 후반대 맴돌아
[서울=뉴시스 주동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준금리를 인하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내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다만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서두르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며 큰 상승폭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13일 오전 8시50분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24시간 전보다 1.68% 오른 1억4750만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업비트에서는 1.1% 상승한 1억4760만원에 거래됐다.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24시간 전보다 1.97% 오른 9만7695달러로 나타났다.
이더리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빗썸에서 이더리움은 24시간 전 대비 4.69% 오른 413만원에 거래됐다. 업비트에서도 413만원으로 4.08% 상승했다.
코엔마켓캡에서는 4.91% 오른 2732달러로 나타났다.
비트코인의 국내외 가격 차이를 뜻하는 김치프리미엄은 3%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비교 플랫폼 크라이프라이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5분 기준 비트코인 김치프리미엄은 3.6%다.
이날 비트코인 가격이 반등세로 돌아선 것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 시간) 트루스소셜에 “금리를 낮춰야 하고, 이는 다가오는 관세와 맞춰 진행될 것”이라는 글을 게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 금리인하를 압박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23일에는 새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일주일 앞두고 “많이(a lot) 인하되길 원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자 “제롬 파월(연준 의장)과 연준이 자신들이 만든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며 비판을 쏟아냈다.
반면 파월 의장은 같은 날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기준금리를 조급히 내릴 필요가 없다고 거듭 표명한 것이다.
한편 글로벌 가상자산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서 집계하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50점을 기록하며 ‘중립(Neutral)’ 수준을 나타냈다. 전날(46·공포)보다 상승한 수치다. 해당 지수는 0으로 갈수록 시장 심리가 극단적 공포에 가까움을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