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규리 기자] 미국 주(州) 정부들이 디지털자산(가상자산)을 공공 투자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텍사스와 노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 등이 비트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인정하고 비축하는 법안을 잇달아 발의하면서, 디지털자산이 미국의 공식 투자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텍사스 선봉에 섰다…美 최초 비트코인 비축 도전”
찰스 슈베르트너 텍사스 주 상원의원은 12일(현지시각)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법(SB 21)’을 재발의했다. 기존 법안(SB 778)과 달리 이번 법안은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다른 디지털자산도 적극적으로 투자가 가능하도록 수정한 것이 특징이다.
슈베르트너 의원은 “이 법안이 통과되면 텍사스는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을 최초로 도입하는 주가 될 것”이라며 “혁신과 경제 성장, 금융 자유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SB 21 법안은 텍사스 주정부가 비트코인을 매입·보유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거래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시가총액 5000억달러(약 725조원) 이상을 유지한 디지털자산에 한해 투자가 가능하도록 규정했다. 현재 이 기준을 충족하는 자산은 비트코인이 유일하다.
데니스 포터 사토시액션펀드 창립자는 “부지사로부터 여러 차례 이 법안이 주요 우선순위라는 말을 들었다”고 언급하기도했다.
#노스캐롤라이나도 가세⋯공공기금, 디지털자산 투자 허용 추진
노스캐롤라이나도 디지털자산을 공공 투자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데스틴 홀 하원의장과 스티븐 로스 하원의원 등은 이날 ‘NC 디지털자산 투자법(HB 92)’을 발의했다. 이 법안에 따르면, 주 재무부는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디지털자산을 투자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해당 자산은 △거래소에서 상장·거래되는 상품일 것 △최근 12개월간 평균 시가총액이 7500억달러(약 1088조원) 이상일 것 등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노스캐롤라이나는 디지털자산을 적극 활용한 투자 전략을 도입하고, 주 재정 운용의 현대화를 도모할 전망이다.
#뉴멕시코, 공공자금 5% 비트코인 투자 법안 발의
뉴멕시코는 펜실베이니아, 플로리다, 텍사스 등과 함께 비트코인 보유를 추진하는 주요 주 중 하나로 급부상했다.
앤서니 손턴 뉴멕시코 주 상원의원은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법(SB 275)’을 내놓으며 공공자금의 5%를 비트코인에 할당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해당 자금은 △보조금 영구 기금 △채무 상환세 영구 기금 △담배 합의 영구 기금 △주 투자위원회가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기타 주 정부 기금 등에서 조달될 예정이다.
#13개주 도미노 효과⋯백악관도 비트코인 주목
텍사스, 노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 외에도 △ 펜실베이니아 △ 플로리다 △오하이오 △앨라배마 △노스다코타 △뉴햄프셔 △매사추세츠 △유타 △애리조나 등 여러 주에서 비트코인 비축을 위한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매사추세츠와 와이오밍은 각각 비상 기금의 각각 10%와 3%를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아이오와는 시가총액 7500억달러(약 1088조원) 이상인 디지털자산에 한해, 공공기금의 5%까지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마련했다.
펜실베이니아는 지난해 11월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법’을 발의해 총 기금의 10%를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플로리다도 1857억달러(약 269조3000억원) 규모의 연금 기금 일부를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연방정부 차원의 논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데이비드 삭스 백악관의 AI 및 디지털자산 정책 책임자(크립토 차르)는 최근 “미국 재무부의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검토가 디지털자산 정책의 우선 과제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