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최창환 기자]글로벌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는 미국 주(州) 단위의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이 최대 230억 달러(약 24만 2700 BTC) 규모의 매수를 유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고 더 블록이 13일 보도했다.
텍사스, 펜실베이니아, 오하이오 등 일부 주에서는 공공 자금을 이용해 암호화폐를 직접 매입하거나 주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준비금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 플로리다주에서는 주정부가 비트코인과 기타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제출했으며, 노스캐롤라이나주도 주 재무장관이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애리조나주 상원 금융위원회는 공공 기금으로 비트코인 투자를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현재 상원 규칙위원회에서 추가 논의가 진행 중이다. 만약 해당 법안이 주 하원까지 통과한다면, 애리조나주는 공식적으로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주정부가 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미국에서 주 차원에서 암호화폐를 결제 수단으로 허용하는 곳은 △콜로라도 △유타 △루이지애나 등 세 곳이다. 지난해 11월에는 디트로이트시가 미국 내 최대 규모 도시로서 암호화폐 결제를 수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연방 정부 차원의 ‘디지털 자산 비축 전략’ 논의
미국 연방 차원에서도 디지털 자산 비축 전략이 논의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디지털 자산, 특히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한 연방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을 지시했으며, ‘전략적 국가 디지털 자산 비축(stockpile)’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에크는 주(州) 단위의 비트코인 매수 가능성과 별개로, 미국 정부가 암호화폐를 직접 보유하는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미국이 2029년까지 100만 BTC를 매입할 경우, 2049년에는 국가 부채의 35%에 해당하는 42조 달러를 상쇄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단, 이를 위해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연평균 25%씩 상승해 2049년까지 개당 약 4,230만 달러에 도달해야 한다.
현재까지 미국 정부는 주로 범죄 조직 단속 등을 통해 비트코인을 확보해 왔다. 반에크에 따르면 2022년 4분기부터 2024년 4분기까지 미 정부는 총 37만7000 BTC를 확보했으며, 이는 대부분 범죄 수익 환수 과정에서 얻어진 것이다.
미국 백악관의 암호화폐 정책을 담당하는 데이비드 삭스(David Sacks) ‘크립토 차르(crypto czar)’는 최근 비트코인을 “최고의 가치 저장 수단”이라고 평가하며, 국가 차원의 디지털 자산 전략을 강조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연방 및 주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매수 움직임이 비트코인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반에크의 디지털 자산 부문 책임자인 매튜 시겔(Matthew Sigel)은 “현재 230억 달러라는 예상치는 보수적인 접근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향후 주정부의 법안이 구체화되면 비트코인 매수 규모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