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 금융(디파이)이 글로벌 금융의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디파이 내 총 예치 자산(TVL)은 1000억 달러(약 145조 원)를 넘었고, 많은 기관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기관의 본격적 참여로 디파이의 미래에 새로운 과제가 부각되고 있다.
블랙록(BlackRock) 등의 금융기관이 디파이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디파이의 안전성과 규제 준수 측면에서도 변화가 예상된다. 이는 디파이 본질인 탈중앙화를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기관의 참여가 디파이에 대한 신뢰를 높여 긍정적인 시장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규제 불확실성, 고객 신원 확인 및 자금세탁 방지(KYC/AML) 기준 준수, 거래 투명성 부족, 기술적 보안 문제 등은 디파이 확장의 주요 걸림돌이다. 지나친 중앙화는 디파이의 탈중앙화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물자산 토큰화(RWA)는 현재 디파이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맥킨지(McKinsey)에 따르면 RWA 시장은 2030년까지 2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자산 보관(custody)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전통 금융의 인프라가 이를 뒷받침해야 하며, 규제 적합성과 안전성이 강조된 스테이블코인이 사용자 신뢰를 높이고 디파이 채택을 가속할 수 있다.
결국, 디파이의 미래는 탈중앙화와 중앙화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모델은 탈중앙화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현실적 해법을 제시한다. 보안과 규제 준수를 수용하면서도 디파이 본질을 잃지 않는 균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디파이와 전통 금융 간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디지털 금융 시대를 열어갈 것이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4일, 09:3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