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제도권에 들어가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시장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있으며, 싱가포르와 일본도 규제를 통해 투자자 보호와 산업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제도적 공백 상태로, 정부의 규제 마련을 기다리기보다는 자체적으로 해결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의 가상자산 거래소 참여자 수는 1500만 명을 넘었지만, 이는 거의 모두 개인투자자로 구성되어 있다. 기관투자자들의 시장 진입이 사실상 막혀 있어, 시장은 개인투자자 위주로 돌아가고 있다. 2017~2018년에 정부가 가상자산에 제약을 가하면서 시작된 이 현상은 벤처캐피털조차 블록체인 산업에 투자 경험이 부족한 상황을 만들었다. 그 결과, 개인투자자들은 과열과 붕괴를 반복하는 가상자산 시장에서 고위험을 감수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코인 상장 전 엄격한 심사를 거쳐 소수의 코인만 상장하는 반면, 한국 거래소는 통일성 없는 자율심사 기준으로 그 종류가 수백 종에 이른다. 이는 개인투자자들이 검증되지 않은 코인에 무분별하게 투자하게 만들고, 그 결과 투기성과 거품 형성을 부추긴다. 반면, 싱가포르와 미국은 정부가 라이선스를 발급하고, 개인투자자 대상 광고 등을 제한하며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한국의 가상자산 시장에서 리테일 쏠림과 제한적 정보는 큰 문제다. 기관투자자들이 거의 참여하지 않는 한국 시장은 기관들이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다른 국가와 비교해 취약하다. 또한 투자자 보호 제도도 아직 걸음마 단계다. 따라서 정부의 규제가 마련되기 전까지 최소한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투자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필자는 앞으로 한국 시장 내 체계적 투자 문화 형성을 위해 글로벌 블록체인과 벤처캐피털의 초기 투자 사례와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박혜진 교수는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디지털자산·블록체인 과정을 주관하며, 바이야드 대표이사로 블록체인 관련 기술 연구와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6일, 11:15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