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가 올해 말 금 가격 목표를 온스당 31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와 금 ETF(상장지수펀드)에 대한 자금 유입이 주요 배경으로 분석됐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 리나 토마스와 단 스트루이븐은 중앙은행의 금 수요가 월평균 5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전망치보다 높은 수준이다.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금 가격이 온스당 33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언급됐다. 이는 연간 26% 상승에 해당하는 수치다.
올해 금 가격은 7주 연속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중앙은행의 금 매입 확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골드만삭스는 무역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에 대비해 금을 헤지 수단으로 보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중국, 폴란드, 인도 등이 금 매입을 주도하고 있다. 세계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에만 공식 부문에서 108톤의 금이 추가로 매입됐다. 금 ETF도 상승세를 보이며 올해 들어 보유량이 1% 증가했다.
한편, 금 현물 가격은 최근 2912달러 선에서 거래됐으며, 지난주 2942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상승한 수치다. 골드만삭스의 이번 전망은 시티그룹의 금 가격 예상치와도 맞물린다. 시티그룹은 이달 초 금 가격이 3개월 내 3000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금에 대한 안전자산 수요를 지속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8일, 16:0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