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약 25% 인상할 방침이라고 18일(현지시각) 밝혔다.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비슷한 수준을 예고했는데, 미국에 공장을 지을 경우에는 면세를 언급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자택에서 행정명령 서명식을 개최한 후 자동차 관세율에 대한 질문에 “아마 4월2일에 발표할 예정”이라며 “25% 정도 될 것(It will be in the neighborhood of 25%)”이라고 답했다.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는 “25% 이상이 될 것이고 1년이 지나면 더 높아질 것이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4월2일 내놓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은 나아가 구체적인 관세율을 제시했는데 앞서 철강, 알루미늄에 부과한 관세와 비슷한 수준을 얘기했다.
미국이 자동차 관세를 인상할 경우 한국은 직격탄을 맞는다.
지난해 수출한 자동차(약 278만대) 가운데 미국 수출 물량은 143만대로 절반이 넘는다. 수출 자동차 절반 이상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셈이다.
앞서 KB증권은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면 현대차·기아의 영업이익이 4조3000억원 감소할 것이라 분석한 바 있다.
모든 수입산 자동차를 대상으로 할 경우엔 멕시코 공장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던 물량들도 타격을 받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공장을 짓는 자동차 기업들에는 면세 혜택을 주겠다는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지만 우리는 그들에게 시간을 주려한다”면서 “미국으로 들어오면서 이곳에 공장을 짓는 계획이 있다면 관세가 없다. 그들에게 기회를 주길 원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국가별로 관세를 면제할지, 기업별로 혜택을 줄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 후 적극적인 관세 정책으로 전세계 무역 판도를 흔들고 있다. 이달 초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 25%씩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 13일에는 각국 실정에 맞는 상호관세 부과를 선언했다.
관세 장벽을 세워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고 공장을 만들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 있는 동안 전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들로부터 연락을 받았다”며 “우리가 관세와 세금, 인센티브를 통해 경제적으로 하고 있는 것들 때문에 그들은 미국으로 돌아오길 원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대기업들의 발표가 있을 것이다”면서 반도체, 자동차 등 기업들이 미국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