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명정선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미국 정부의 금 보유량에 대한 의혹을 제기한 가운데, 정부 장부상 금 가격이 온스당 42.22달러로 책정돼 시장 가격과 큰 괴리를 보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금 보유 장부가, 왜 시장 가격과 다를까?
미국 정부는 ‘미국 정부 금 보유 현황 보고서(Status Report of U.S. Government Gold Reserve)’를 발표하며 보유 금의 양과 평가액을 공개한다. 현재 정부가 장부에 반영하는 금 가격은 1트로이 온스당 42.2222달러로, 이는 1973년 이후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국제 금 시세는 온스당 2930달러를 기록하고 있어, 시장 가치 대비 1.4% 수준에 불과한 평가액이라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 같은 차이는 정부 회계 관행 때문이다. 1934년 ‘금준비법(Gold Reserve Act)’에 따라 금의 가격은 법적으로 고정되었으며, 이후 브레턴우즈 체제가 무너지면서도 미 정부는 회계상 동일한 평가 기준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가 보유한 금의 가치를 시장 가격에 따라 조정하지 않음으로써 회계적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의도가 크다.
#경제적 영향과 회계적 왜곡
장부가와 시장 가격의 괴리는 정부 회계와 경제 정책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다. 먼저, 미국 정부가 보유한 금의 장부상 가치가 지나치게 낮게 평가됨으로써 재정적 자산 규모가 실제보다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현재 미국 정부가 보유한 금의 총량은 약 2억6100만 트로이 온스로, 시장 가격으로 환산하면 5000억 달러 이상이지만 장부가 기준으로는 약 110억 달러에 불과하다.
만약 정부가 금의 평가 기준을 변경해 시장 가격을 반영한다면, 연방정부의 대차대조표상 자산이 급증하게 된다. 이는 재정 건전성 지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부 부채 대비 자산 비율이 크게 변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장부가를 유지함으로써 정부 회계의 변동성을 줄이고,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달러화의 신뢰를 유지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치적·사회적 논란
금 보유량 평가 문제는 경제적 영향뿐만 아니라 정치적 논란으로도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정부가 보유한 금의 실제 가치가 장부가보다 수십 배 높은데도 불구하고, 회계 기준을 변경하지 않는 것은 국민 신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금을 저평가하여 경제적 영향력을 조정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한다.
또한, 경제 위기 시 금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금 보유량의 장부상 가치가 낮게 유지되면, 정부가 보유한 금을 활용한 정책적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부가 금을 담보로 재정 위기 상황에서 활용하려 할 경우, 시장 가치가 반영되지 않는 장부가는 실질적인 정책 옵션을 제한할 수도 있다.
#달러화와 국제 금융 시스템
금의 장부가 유지 문제는 단순한 회계상의 문제를 넘어, 미국이 유지하는 국제 금융 시스템과도 연관이 있다. 현재 미국 달러화는 기축통화로 사용되며, 금 보유량은 달러의 신뢰도를 뒷받침하는 요소 중 하나다. 만약 미국 정부가 금의 장부가를 시장 가격에 맞추어 재평가한다면, 이는 달러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금 가격이 상승할 경우, 미 정부의 자산 평가액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이는 달러의 신뢰도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금 가격이 하락할 경우에는 정부의 대차대조표가 악화될 위험도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는 금의 장부가를 인위적으로 유지하며 변동성을 줄이는 전략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
미국 정부가 금의 장부가를 42.2222달러로 유지하는 것은 단순한 회계상의 문제를 넘어, 경제·정치·금융 시스템과 연결된 복합적인 이슈다. 시장 가격과의 괴리가 크지만, 이를 변경할 경우 회계 처리와 경제적 영향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에 미 정부는 장부가를 유지하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 위기가 심화되거나 금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경우, 이 문제는 더욱 큰 논란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