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성우] 라이언 차우(Ryan Chow) 솔브 프로토콜 CEO가 최근 코인텔레그레프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국가의 전략적 준비 자산으로 인정받는 흐름 속에서도, 그 본연의 분산화 원칙과 대중 접근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우 대표는 “비트코인을 국가 자산으로서 준비하는 움직임은 디지털 자산의 놀라운 잠재력을 보여주는 긍정적 발전”이라며, “그러나 만약 비트코인이 중앙은행의 콜드월렛에 잠겨버린다면, 현 암호화폐 네이티브와 미래의 수십억 사용자들이 단지 관망자가 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 비트코인, 국가 준비 자산의 양면성
차우 대표는 비트코인이 미국 행정부 등 주요 국가 기관의 움직임에 힘입어 국가 준비 자산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을 평가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금, 석유 등 기존의 전략적 자산과 나란히 인정받게 된다면, 이는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디지털 자산의 위상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시에, 이러한 발전이 비트코인의 유동성과 투명성 등 근본적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비트코인이 지나치게 폐쇄된 채로 보관될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과거 1933년 미국의 행정명령 6102를 통해 개인의 금 소유가 제한된 역사적 사례를 언급하며, “비트코인이 ‘새로운 금’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대중이 언제든 보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열린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 개방형 비트코인 준비금 구축의 필요성
차우 대표는 비트코인이 국민의 자산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기관들이 비트코인을 준비 자산으로 채택하더라도 접근성과 투명성이 보장되는 ‘개방형 비트코인 준비금(open Bitcoin reserves)’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비트코인의 상대적으로 정체된 특성은 과거 암호화폐 경제활동 참여를 제한해 왔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BTCfi 등 새로운 움직임이 필요하다”며, “국가 비트코인 준비금이 도입되는 가운데,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제도권 채택이 대중의 접근성을 제한하지 않도록 반드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차우 대표는 “일론 머스크가 도지코인을 ‘국민의 암호화폐’라고 칭한 것처럼, 비트코인 역시 국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국민의 비트코인 준비금’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비트코인의 미래 가치는 그 분산화와 접근성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솔브프로토콜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 △비트코인 유동성 풀 조성 △비트코인 담보 대출 △비트코인 예치를 통한 이자 수익 창출 등 다양한 비트코인 DeFi 상품을 도입하고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
‘HyperEVM’ 출시… 솔브 프로토콜(SOLV), 하이퍼리퀴드(HYPE) 생태계 비트코인 DeFi 확장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