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명정선 기자] 디파이(DeFi) 시장이 올 9월부터 본격적인 성장기에 돌입할 것이며, 신규 사용자들의 유입을 위한 진입점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찰스 다우시(Charles d’Haussy) dYdX 재단 CEO는 최근 홍콩에서 열린 ‘컨센서스 2025’ 행사에서 “올해 디파이 시장은 ‘디파이 썸머’를 넘어 ‘디파이 페스티벌’이 될 것”이라며 “몇 달 동안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DeFi 썸머, 장기적인 ‘페스티벌’로 확대 전망
다우시 CEO는 “기존의 ‘디파이썸머’는 단기적인 현상으로 인식됐지만, 앞으로는 지속적인 성장세가 유지될 것”이라며 “이제는 수개월 동안 계속되는 대형 파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파이 시장은 2020년 ‘디파이 썸머’를 통해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으며, 총 예치 자산(TVL)이 150억 달러까지 급증했다. 그러나 2022년 약세장으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됐다. 하지만 최근 주요 인프라가 개선되고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디파이 시장이 다시 성장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기존 강자들의 재부상과 기관 투자 증가
다우시 CEO는 “디파이 시장에서 기존 강자들이 더욱 강해질 것”이라며 “신규 프로젝트보다는 신뢰받는 기존 브랜드들이 더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기관 투자자들의 DeFi 참여가 확대될 것이며, 주요 시장 참여자들이 이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최대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인 리도 파이낸스(Lido Finance)는 지난해 8월 기관 투자자를 위한 스테이킹 솔루션 ‘리도 인스티튜셔널(lido Institutional)’을 출시한 바 있다. 이처럼 디파이 시장은 기관들의 유입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중앙금융(CeFi)와 탈중앙금융(DeFi) 간 경계 허물어질 것
또한 다우시 CEO는 중앙화 거래소(CeFi)가 디파이 시장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일부 중앙화 거래소들은 블록체인 및 지갑 서비스를 출시하거나, 대출 및 선물거래 서비스를 종료하는 등 규제 대응을 위해 사업 모델을 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세파이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디파이로 이동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는 “세파이 플랫폼이 사용자들의 디파이 진입을 돕는 다리 역할을 하면서, 사용 경험이 더욱 원활해질 것”이라며 “이는 세파이 사업자들에게도 긍정적인 변화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거시경제 변수 관건… 9월 이후 기대감 상승
다우시 CEO는 “올여름에는 시장 변동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일시적인 위기가 발생할 수도 있다”면서도 “9월 이후에는 다시 본격적인 상승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거시경제 상황이 안정되면 디파이 시장도 활기를 되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