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센트 네트워크(Lucent Network)가 19일 공식적으로 쑨(SOON) 스택을 활용한 SVM(Solana Virtual Machine) 기반 AI 중심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을 발표했다. 2022년 크로스체인 인프라 제공업체로 시작한 클로버(Clover)는 루센트 네트워크로 리브랜딩하면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
이번 변화는 AI, 탈중앙화 금융(DeFi), 소셜파이(SocialFi)를 하나로 융합해 블록체인의 한계를 뛰어넘고 원활한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루센트 네트워크는 기존 클로버 서비스를 통해 다중 체인 아키텍처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산 이전 및 크로스체인 디파이 인프라를 지원해왔다.
이번 리브랜딩을 통해 AI 기반 자동화와 실시간 금융 거래 최적화를 지원하는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주된 기능으로는 AI 기반의 자율 유동성 계층을 구현해 토큰 스왑, 가격 및 슬리피지 관리가 가능하며, 개발자들이 스마트 계약 없이도 손쉽게 토큰을 생성, 배포할 수 있는 노코드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 웹2 플랫폼과 온체인 경험을 직접 연결하여 복잡한 지갑 설정 없이 Web3를 도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쑨 스택은 50ms 이하의 블록 타임을 구현하며 대량의 AI 데이터 처리와 실시간 분산 금융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초고성능 실행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AI 중심의 디파이 전략을 구현하고 모든 블록체인 간 자산, 데이터, 유동성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한다. 쑨은 특히 슈퍼 어답션 스택(SAS)를 통해 대중적인 블록체인 채택을 목표로 하며, 고성능을 뒷받침하는 다양한 기술을 통합하고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0일, 13:1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