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정화 기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관련 불법 행위를 단속하던 전담 부서를 축소하고, 명칭도 변경한다고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코인데스크는 이에 대해 SEC가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공격적 단속 기조에서 물러서는 추세가 한층 강화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기사에 따르면 SEC는 기존 ‘암호화폐 및 사이버 부서(Crypto Assets and Cyber Unit)’의 명칭을 ‘사이버 및 신흥 기술 부서(Cyber and Emerging Technologies Unit)’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인원 수도 축소돼, 기존 50명에서 약 30명의 사기 전문 조사관과 변호사들로 구성될 예정이다.
“투자자 보호와 혁신 성장 병행”
SEC의 임시 위원장 마크 우예다는 이번 개편에 대해 “새 부서는 투자자 보호뿐 아니라 혁신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투자자에게 피해를 주고 신기술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는 불법 행위를 근절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2022년 게리 겐슬러 당시 SEC 의장이 내세운 강경한 암호화폐 규제 기조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당시 겐슬러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를 악용하는 행위를 단속하겠다고 강조했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 변화
이번 개편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기조 변화와도 관련이 깊다. 트럼프는 공화당 소속의 마크 우예다를 SEC 임시 위원장으로 임명했으며, 현재 상원에서는 폴 앳킨스의 SEC 위원장 인준 여부를 심사 중이다. 우예다는 임시 위원장 직을 맡은 이후,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SEC의 기존 강경 입장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조직 개편을 진행해 왔다.
특히 그는 공화당 소속 커미셔너 헤스터 피어스의 감독 아래 ‘암호화폐 태스크포스’를 신설했으며, 이번에 개편된 ‘사이버 및 신흥 기술 부서’는 해당 태스크포스와 협력해 운영될 예정이다.
AI와 사이버 보안까지 감시 범위 확대
비록 부서가 축소됐지만, SEC는 여전히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사기 행위를 단속할 계획이다. 여기에 더해, 이번 개편으로 감시 범위가 인공지능(AI)의 불법적 사용, 해킹, 기타 사이버 보안 위반 등으로 확대됐다.
SEC는 이번 변화를 통해 혁신적인 기술의 성장을 촉진하면서도 투자자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규제는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