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규리 기자] 미국 정부가 바이낸스 계좌에서 압수한 디지털자산에 대한 공식 몰수 절차를 진행 중이다. 당국은 해당 계좌가 투자 사기와 연루된 전신 사기 및 자금 세탁에 사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21일(현지시각) 비트코인닷컴뉴스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 법무부와 국토안보수사국(HSI)은 이번 조사를 통해 글로벌 사기 조직이 바이낸스를 통해 불법 자금을 운영한 정황을 포착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관련 자산의 몰수를 추진하며, 범죄 조직과의 연관성을 조사 중이다. 이에 지난 19일 매사추세츠 연방 지방법원에 민사 몰수 소송을 제기했다. 압수된 자산은 지난해 10월 확보됐으며 정부는 이를 불법 범죄 수익으로 판단하고 있다.
압수된 디지털자산 목록은 △비트코인(BTC) 7.23918814개 △이더리움(ETH) 105.75351403개 △아발란체(AVAX) 636.11899592개 △테더(USDT) 1만4120.995091개(약 2억4700만원) △시바이누(SHIB) 23억8046만7906.17개 △페페(PEPE) 3억1900만8151.01개 등이다. 현재 시가 기준 압수된 자산 가치만 1000달러(약 145억원)으로 추정된다.
미국 비밀경호국(Secret Service) 소속 카트리나 P. 콜필드 특별 요원은 이번 사건이 ‘트레이드 프로펠’이라는 가짜 투자 플랫폼을 이용한 사기와 연관됐다고 밝혔다.
수사에 따르면, 사기 조직은 ‘파이낸셜 인디펜던스 포럼’이라는 페이스북 그룹을 통해 피해자들을 유인했다. 이들은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디지털자산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것처럼 속였으며 피해자 중 한 명(Victim-1)은 ‘톰 셸던 헤일리’라는 인물과의 상담을 거쳐 1.33 BTC(약 1억9300만원)를 송금하기도 했다.
그러나 트레이드 프로펠 웹사이트는 금융기관과의 관계를 허위로 표기한 사기 플랫폼으로 밝혀져 현재 다수의 피해자가 나타난 상황이다.
미국 정부는 이번 몰수 조치를 통해 디지털자산을 악용한 금융 범죄를 차단하고, 피해자 보호를 강화할 방침이다. 법원은 해당 자산이 사기 및 자금 세탁과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몰수 절차를 승인했다.
미 법무부 관계자는 “디지털자산을 이용한 범죄 행위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며 “합법적인 금융 시스템을 악용한 불법 조직을 철저히 추적하겠다”고 강조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