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문예윤 인턴기자] 블록체인 업계에서 AI 기술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탈중앙화 AI 인프라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 리서치가 21일 밝혔다.
디지털자산(가상자산) 데이터 분석 업체 메사리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기준 블록체인 기반 AI 프로젝트의 투자 유치 금액은 전년 대비 100% 증가했으며 투자 건수는 138% 늘었다.
그러나 블록체인에 AI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기술적·구조적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웹3는 무신뢰성을 기반으로 중앙화된 기관의 개입 없이 데이터를 검증하고 처리한다. 반면 AI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 관리와 불투명한 학습 과정이 특징이다.
AI의 안정적인 상용화를 위한 대안으로 탈중앙화 AI 인프라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 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AI 네트워크 플랫폼으로는 △알로라(Allora) △비트텐서(Bittensor) △겐신(Gensyn) 등이 있다.
알로라는 AI 모델들이 협력하여 더 정확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탈중앙화 네트워크다. AI 모델 운영자가 특정 주제에 대한 예측을 실행하면, 프로토콜이 여러 모델의 결과를 종합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한다. 정확한 예측을 수행한 모델에는 더 많은 보상이 주어지며, 이를 통해 AI 모델이 스스로 학습하고 성능을 개선하도록 유도한다.
비트텐서는 누구나 AI 모델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개방형 AI 네트워크다. 기존 AI 시장은 오픈AI(OpenAI),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 소수의 대형 기업이 독점하는 구조다. 반면 비트텐서는 AI 개발을 완전한 분산형 방식으로 운영한다. 네트워크는 특정 기능별로 나뉜 서브넷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각 서브넷은 △자연어 처리(NLP) △이미지 생성 △금융 분석 등 특정 기능에 최적화되어 있다. AI 모델들은 해당 서브넷 내에서 경쟁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고.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받는다.
겐신은 전 세계 유휴 컴퓨팅 자원을 연결해 AI 학습을 분산 처리하는 개방형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다.연산을 수행하는 솔버(Solver)와 검증하는 검증자(Verifier)로 역할을 구분하며, 확률적 학습 증명 기술을 통해 연산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기여도를 입증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는 기여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김병준 디스프레드 리서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AI의 편향된 판단이나 특정 기업의 AI 시장 독점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AI가 웹3 생태계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으며 블록체인이 AI 인프라의 필수 요소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