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워싱턴=뉴시스]신정원 기자, 이윤희 특파원 = 21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미국과 중국 경제 수장들이 유선회담을 진행했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날 오전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통화했다. 통화는 미국 측의 요청을 이뤄졌다.
양측은 양국 경제 관계에 대한 견해를 교환했으며 소통을 계속 이어가기로 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초대 재무장관인 베센트 장관이 중국 측과 직접 소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베센트 장관은 통화에서 중국의 마약 단속 노력, 경제 불균형, 불공정 정책 등을 지적하며 우려를 표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경제와 노동자, 국가안보를 보호하는 경제통상 정책을 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재무부는 전했다.
중국 신화통신도 양국 경제 수장의 화상 통화를 확인하면서 양자 간 중요한 경제 문제가 논의됐다고 밝혔다.
신화통신은 “중·미 경제무역 중국 측 책임자인 허 부총리는 (미국 측의) 요청에 따라 베센트 장관과 화상 통화를 진행했다”며 “양측은 중·미 정상 통화 합의 이행을 중심으로 양국 경제 분야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이어 “양측은 모두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중요성을 인정했고 상호 관심사에 대해 계속 소통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중국 측은 최근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 등 제한 조치에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도입된 10% 대중 추가관세와 중국의 보복관세를 해소하기 위한 논의도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자국 내로의 펜타닐 등 마약 유입에 대한 책임을 물어 지난 4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관세를 부과하고, 800달러 미만 수입품에 대한 면세 혜택을 철회했다.
이에 중국은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 제품과 원유·농업기계 등에 보복관세를 부과했고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구글 등 미국 기업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개시며 맞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24시간 내에 통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이후 “서두르지 않겠다”며 말을 바꿨고 아직 미중 정상간 회담은 이뤄지지 않았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