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바이비트(Bybit) 거래소가 해킹으로 약 15억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ETH)을 도난당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이더리움 블록체인 롤백(Roll Back 거래 취소)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발생한 해킹 사건의 해결 방법으로 해커들의 이더리움 트랜잭션을 취소하려는 롤백 주장이 제기됐다. 롤백을 통해 도난된 자금을 회수할 수 있지만,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수정해야 하는 난관이 있다.
블록체인 롤백이란 확인된 거래를 되돌려 네트워크를 이전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주로 보안 침해나 악용 사건 이후에 이루어지며, 검증자들이 합의를 통해 영향을 받은 블록을 폐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과정은 블록체인의 신뢰성과 탈중앙화 원칙을 크게 훼손할 가능성이 높다.
비트멕스(BitMEX) 공동 창업자 아서 헤이즈는 DAO 해킹 사건 당시 이더리움이 하드포크를 단행해 도난된 자금을 회복한 선례를 들며 롤백을 주장했다. 그는 2016년 사건 이후 이더리움이 이미 불변성을 타협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반면, 암호화폐 트레이더 보로빅과 비트코인 지지자인 지미 송은 롤백이 이더리움의 신뢰성과 중립성을 훼손할 것이라며 반대했다. 송은 바이비트 해킹 사건은 DAO 해킹과 비교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더리움 지지자 아드리아노 페리아는 조건부 복구 가능한 레이어 2(L2) 솔루션을 통해 이번 상황을 피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며, 사회적 복구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이번 논쟁은 이더리움이 불변성을 우선시할 것인지, 아니면 극단적인 경우 개입할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이더리움 커뮤니티의 향후 대응이 암호화폐 공간 내에서 장기적인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2일, 22:3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