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최창환 기자]홍콩과 싱가포르가 아시아 암호화폐 시장의 주도권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비트코인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는 가운데, 두 금융 중심지는 규제 완화와 투자 친화적 정책을 통해 글로벌 디지털 자산 기업을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홍콩, 암호화폐 규제 정비 가속화
24일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의 감독 아래, 홍콩은 암호화폐 시장 규제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9개의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에 대해 운영을 승인했으며, 추가적으로 여러 라이선스 신청이 검토 중이다.
또한 홍콩은 암호화폐 파생상품과 마진 대출과 같은 새로운 금융 상품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이들 상품은 시장 유동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금융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본토가 여전히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홍콩은 아시아의 대표적인 디지털 자산 허브로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싱가포르, 보다 엄격한 라이선스 규정 도입 검토
싱가포르는 2024년 들어 13개의 암호화폐 관련 라이선스를 부여했다. 여기에는 OKX, 업비트(Upbit)와 같은 대형 거래소뿐만 아니라 앵커리지(Anchorage), 비트고(BitGo), GSR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포함됐다. 이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홍콩보다 빠른 속도로 라이선스 시스템을 확대하고 있다.
싱가포르 통화청(MAS)은 암호화폐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혁신을 장려하기 위해 규제 프레임워크를 지속적으로 개편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폐 기업에 대해 보다 엄격한 라이선스 요건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업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는 암호화폐 채택
홍콩과 싱가포르 간의 경쟁은 아시아 전역에서 암호화폐 채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두 도시 모두 기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규제의 명확성을 강조하며, 암호화폐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암호화폐 친화 정책의 새 시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글로벌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홍콩과 싱가포르는 암호화폐 시장을 금융 시스템에 통합하려는 다른 금융 중심지들에 모범 사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 확대와 법적 환경 변화에 따라, 아시아가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중심지로 부상할지 주목된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