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며 경기 부양에 나섰다.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 인하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3.0%에서 2.75%로 인하했다. 이는 2020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의 2%대 금리다. 이에 따라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다시 1.75%포인트로 벌어졌다.
이 같은 금리 인하 결정은 △트럼프 신정부의 보호무역 정책 △국내 정치 불안 △건설 투자 위축 등의 경기 하강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한은은 미국의 반도체와 자동차 등의 한국 수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예고도 부담이 됐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지난 1월에 이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6~1.7%에서 1.5%로 다시 하향 조정했다. 경제 성장 전망이 악화되면서 추가경정예산 편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여야 간 합의가 지연되면서 통화정책만이 유일한 대응책이 되고 있다.
고환율 부담이 완화된 점도 금리 인하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1월 당시 1470원대였던 원·달러 환율이 최근 1420원대로 내려가면서 급등세가 주춤했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기대감에 따른 엔화 강세도 원화 안정에 기여했다.
시장은 한국은행이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5~7월경 추가 인하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김정식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경기 하강 우려 대응이 필요하지만 환율과 가계부채 부담도 고려해야 한다”며 “추경과 함께 연내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5일, 10:08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