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와 회동해 규제 개혁 방안을 제안했다고 25일 외신들이 보도했다. 세일러는 이 자리에서 미국 디지털 자산 산업의 혁신 지원과 투자자 보호 강화 전략을 발표하고, 암호화폐 발행 및 상장 비용과 시간 부담을 줄이는 새로운 규제 지침을 강조했다.
이번 회동은 SEC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존의 강경한 입장에서 벗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최근 SEC는 코인베이스(Coinbase)에 대한 법적 소송을 철회했고, 이후 로빈후드(Robinhood)의 암호화폐 거래 부문 조사도 중단했다. 이에 따라 리플랩스(Ripple Labs)와 같은 다른 암호화폐 기업들에 대한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세일러는 회의에서 △자산 발행 비용을 운용 자산(AUM)의 1%로 제한하고, △자산 상장 유지 비용을 연간 10bp(베이시스포인트)로 제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디지털 자산을 명확히 정의하는 새로운 규제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NFT, 스테이블코인, 실물 자산 기반 토큰화, 밈코인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의 분류 기준과 암호화폐 기업과 투자자의 권리 및 책임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는 헤스터 피어스(SEC 커미셔너)가 이끄는 조직으로, 암호화폐 기업들과 협력해 규제 가이드라인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태스크포스는 코인베이스, 오픈씨(OpenSea) 등 주요 암호화폐 기업 관계자들과 잇따라 회동했으며, 최근 로빈후드와 코인베이스, 암호화폐 혁신위원회(Crypto Council for Innovation)의 대표자들과 논의를 진행했다.
마이클 세일러는 미국 암호화폐 업계의 대표적 인사로, 규제 개혁과 산업 발전을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아들 에릭 트럼프와 플로리다 마라라고에서 회동해 미국 비트코인 전략을 논의한 바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5일, 10:1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