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오수환 기자]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성장할수록 신뢰할 수 있는 온체인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기존 오라클 시스템은 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되며, 데이터 조작 위험이 존재했지만 API3는 이를 개선해 보다 투명하고 안전한 데이터 제공을 목표로 합니다.”
빌리 캄파나(Billy Campana) API3다오(DAO·탈중앙화자율직) 기여자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덴버에서 열린 이드덴버에서 <블록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API3의 역할과 탈중앙화 오라클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설명했다. API3는 기존 오라클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소스를 직접 온체인에 연결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가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PI3는 기존 오라클 서비스와 차별화된 방식으로 운영된다. 캄파나는 “기존 오라클은 데이터 소스를 명확히 밝히지 않거나 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돼 데이터 조작 위험이 있었다”며 “API3는 에어노드(Airnode)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제공자가 직접 온체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코인게코나 코인마켓캡 같은 데이터 제공자가 API3의 에어노드를 사용하면 중간 개입 없이 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어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이 강화된다.
API3는 최근 OEV(Oracle Extractable Value) 네트워크를 도입해 온체인 수익 모델 확장에 나섰다. 캄파나는 “기존 오라클 서비스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에 그쳤지만, API3는 이를 넘어서 블록체인 내에서 발생하는 가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대출 프로토콜에서는 담보 청산(liquidation)이 발생할 때마다 오라클이 실시간으로 가격을 업데이트해야 하는데 API3의 OEV 네트워크는 이를 최적화해 프로토콜이 손실을 최소화하고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API3는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API3 토큰 보유자가 네트워크 운영 및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한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다. 캄파나는 “API3의 거버넌스 구조는 중앙화된 운영 방식과 달리, 커뮤니티가 직접 네트워크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며 “모든 의사 결정이 온체인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투명성이 높고, 누구나 프로젝트 운영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API3는 현재 다양한 디앱(DApp)과 협력하며 온체인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캄파나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할수록 정확한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며, API3는 차세대 오라클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DAO 거버넌스 강화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투명한 오라클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