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트론(Tron), 테더(Tether), TRM 랩스(TRM Labs)의 협력으로 바이빗(ByBit) 해킹 사건과 연루된 900만 달러(132억 930만 원) 이상의 자금이 동결된 것으로 확인됐다. T3_FCU(금융 범죄 단위)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블록체인 상의 불법 활동을 근절하기 위해 T3_FCU라는 공동 포렌식 조직을 설립해 본 사건에 대응했다.
해킹된 자금 회수 외에도 이 이니셔티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이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해 적극적인 보안 조치를 확대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 사상 최대 규모의 해킹 사건
바이빗은 지난 2월 21일 사상 최대 규모의 해킹을 당해 14억 달러 이상의 디지털 자산, 주로 이더리움(ETH)을 탈취당했다. 이번 해킹은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 그룹(Lazarus Group)의 소행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은 바이빗의 콜드월렛 시스템 취약점을 악용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악성 코드를 심었고, 이를 통해 40만1000ETH를 자신들의 주소로 전송시키며 사기를 정당한 거래로 위장했다.
이번 공격은 암호화폐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킹 사건으로, 중앙화된 거래소의 보안 취약점을 드러냈다. 그러나 바이빗 CEO 벤 저우(Ben Zhou)는 “바이빗이 여전히 20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관리하며 솔벤시(지급 능력)는 유지하고 있다”고 고객들에게 안심시켰다.
# 바이빗의 회복 노력
바이빗은 공격에 대응해 “라자루스 바운티(Lazarus Bounty)”라는 이름의 현상금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도난당한 자금의 10%에 해당하는 1억4000만 달러를 블록체인 수사관 및 독립적 바운티 헌터들에게 지급하겠다고 약속하며, 자금 추적 및 회수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다.
탈취된 자금은 수천 개의 지갑을 통해 이동된 것으로 추적되었고, 일부는 비트코인으로 전환됐으며 또 다른 일부는 거래소와 프라이버시 믹서를 이용해 세탁됐다.
최근 900만 달러를 해커로부터 동결한 진전은 긍정적인 신호를 보여주지만, 전체 금액 회수를 위해 여전히 많은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