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정윤재] 에테나 랩스(Ethena Labs, $ENA)의 스테이블코인 ‘USDtb’ 발행량이 10억달러(약 1조 4천억원)를 넘어서며 급성장 중이다. USDtb는 블랙록(BlackRock)의 토큰화 국채펀드 ‘BUIDL’의 전체 공급량 중 70% 이상을 보유한 최대 홀더가 됐다. 최근 3주간 BUIDL의 성장분 중 95% 이상이 USDtb를 통해 이뤄졌다.
USDtb는 디지털 달러 형태의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통 달러와 유사하게 △지불 △자산 거래 △보유 등에 사용된다. 기존 스테이블코인과 달리 USDtb는 전량이 블랙록 BUIDL을 포함한 기관급 국채펀드 기반 자산으로 담보된다. 이를 통해 빠르고 저렴한 거래는 물론 높은 안정성까지 확보했다.
에테나는 “USDtb는 투명성과 신뢰성 모두를 갖춘 디지털 달러로, 실시간 온체인 데이터를 통해 담보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월25일 기준, USDtb는 총 11억8천만달러 규모의 자산으로 100.03% 담보돼 있다.
블랙록 BUIDL 기반 디지털 달러…신속한 상환도 가능
USDtb의 주요 담보 자산은 블랙록 BUIDL(10억6천만달러), USDC, USDT로 구성된다. BUIDL은 현재 USDtb 담보 자산 중 약 90%를 차지하며, BUIDL 펀드 공급량의 70% 이상을 USDtb가 보유 중이다. USDC는 소량 보유 중이며, USDT는 상환용 준비금으로 활용된다.
USDtb 발행과 관리는 독립 구조로 운영된다. 발행 주체인 ‘팔라스(Pallas)’는 영국령 버진아일랜드(BVI) 등록 법인이며, 비영리 성격의 팔라스재단(Pallas Foundation)이 단독 주주다. 운용사 ‘아테네 매니지먼트(Athene)’는 에테나 계열사로, 펀드 자산을 관리하되 경영권은 보유하지 않는다. 담보 자산은 코퍼(Copper), 코마이누(Komainu) 등 기관 수탁사를 통해 관리된다.
에테나랩스는 “USDtb는 발행, 상환, 담보 자산 운영까지 모든 과정이 구조적으로 독립돼 있다”며 “사용자는 투명하게 설계된 구조 속에서 신속한 상환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USDT를 중심으로 한 상환 준비금은 즉시 환급이 가능한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디지털 달러 넘어, 기관 투자 기반 ‘실물 담보형’ 스테이블코인
에테나랩스는 USDtb가 단순 디지털 자산을 넘어, 실물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새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USDtb 사용자는 KYC 및 AML(자금세탁방지) 절차를 거친 후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되면 직접 발행·상환이 가능하다. 관련 조건과 절차는 공식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USDtb는 블랙록의 기관급 자산을 기반으로 안정성과 신속한 상환성을 확보한 구조”라며 “BUIDL 성장세와 함께 디지털 달러 시장 내 입지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USDtb는 BUIDL을 비롯한 실물 기반 자산과의 연결을 통해 변동성이 큰 기존 스테이블코인과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이는 웹3 내 실물금융(RealFi) 확산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
에테나(ENA), 기관용 스테이블코인 USDtb 발행량 급증… 일주간 2억3000만 달러 증가 | 블록미디어
에테나 랩스(ENA)의 스테이블코인 USDtb 바이빗 상장…최대 연 5% 이자 제공 | 블록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