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전일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 예고 이후 약세를 보이던 비트코인은 금일 8만 7000달러대 부근에서 거래되며 횡보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10시 20분 현재 △월러스(Walrus, $WAL) △카브(Carv, $CARV) △오르카(Orca, $ORCA) △타이코(Taiko, $TAIKO) △블라스트(Blast, $BLAST)가 상승세를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25년 3월28일 오전 10시 15분 기준, 3월 27일에 신규 상장된 월러스는 전일 대비 16.88% 오른 808.9원에 거래됐다. 거래대금은 1622억 원으로 집계됐다. 월러스는 수이(Sui) 생태계의 탈중앙화 스토리지 네트워크로, 이레이저 코딩 방식과 레드 스터프(Red Stuff) 인코딩 기술을 활용해 비정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한다. 플랫폼 결제와 거버넌스, 보안 기여 등에 사용되는 토큰 WAL은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카브는 688.5원으로 10.12% 상승했으며, 거래대금은 2002억 원이다. 카브는 게이밍과 AI 기반의 모듈러 데이터 레이어 프로토콜이다. 다섯 개의 모듈 구조로 다양한 플랫폼의 데이터를 통합하며, 카브 플레이 플랫폼을 통해 게임 생태계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오르카는 4075원으로 6.54% 올랐다. 거래대금은 2762억 원에 달했다. 오르카는 솔라나 및 이클립스 체인 기반의 집중 유동성 시장 조성자(CLMM, Concentrated Liquidity Market Maker) 방식 탈중앙화 거래소다. 유동성을 특정 가격 범위에 집중해 자본 효율성을 높이며, 코딩 없이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툴도 제공한다. 이클립스 최초의 DEX(탈중앙화 거래소)로 멀티체인 생태계 확장을 시도 중이다.
타이코는 1221원으로 4.99% 상승했고, 거래대금은 97억 원이다. 타이코는 이더리움 밸리데이터(Validator)를 시퀀서로 활용하는 베이스드 롤업(Based Rollup) 기술을 도입해 보안성과 탈중앙성을 확보했다. 이더리움 기반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을 레이어2에서도 재배포 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스터 롤업(Booster Rollup) 기능도 갖췄다.
블라스트는 5916원으로 4.45% 상승했다. 거래대금은 129억 원 수준이다. 블라스트는 네이티브 이자(Native Yield)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온체인 활동 중에도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다. 유동화 스테이킹 플랫폼 리도(Lido)와 메이커다오(MakerDAO)의 수익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순 가스 수익(Net Gas Revenue)을 디앱에 분배하는 구조를 갖췄다.
이들 알트코인의 강세는 각각의 기술적 특성과 생태계 확장 노력에 대한 투자자 기대감을 반영한 결과로 분석된다. 향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